설자은, 불꽃을 쫓다 설자은 시리즈 2
정세랑 지음 / 문학동네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설자은의 두 번째 모험담은 전작과 달리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두기 보다 왕의 사람이 된 자은의 고뇌하는 모습에 비중을 두었다고 할 수 있다. 전작이 설록과 왓슨처럼 자은과 인곤의 티키타카였다면, 이번 이야기에서는 인곤은 부차적인 인물로 물러나고, 권력의 꼭대기에 있는 왕과 그의 명령을 따라야 하는 자은 사이에 일어나는 미묘한 부딪힘이 잘 묘사되어 있다.

더불어 신라가 통일되면서 점점 잊혀지는 가야와 백제 고구려 그리고 말갈족의 이야기까지 역사를 이야기속에서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화마의 고삐>

서라벌 여기저기서 화재가 발생한다. 사람도 죽어나간다. 실수로 일어난 불이 아니다. 설자은은 왕이 붙여준 부하들을 이끌고 사건을 해결하러 출동한다.

화재가 발생하고 사람들이 죽어나가는 이유가 무얼까?

 

<탑돌이의 밤>

자은의 동생 도은이 탑돌이를 갔다가 비단에 싸여있는 괴이한 돌멩이를 맞는다. 자은을 데리고 있으니 몸값을 내놓으라는 협박 문구가 적혀있다. 오라버니가 걱정되어 발을 동동 구르는 도은 앞에 자은이 아무일 없다는 듯이 나타난다. 그들은 과연 누구를 잡아간 걸까? 거짓말로 유인한 걸까?

 

<용왕의 아들들>

지방 오소경 여기 저기서 산적 무리가 들끓는다는 소식에 왕은 자은을 파견한다.

용의 탈을 쓰고 용왕의 아들들이라 참칭하는 이들이 금성에서 지방으로 가는 집안을 급습한다. 재산을 내놓기보다 딸을 내놓기를 선택하는 사람들. 어떻게든 딸을 내놓지 않으려는 이에게 재산을 돌려주는 산적 무리가 심상치 않다. 산적 무리가 사용하는 용의 비늘은 귀한 유리로 만들어졌다. 왕궁과 관련이 있는 것일까?


#설자은

#설자은불꽃을쫓다

#정세랑역사추리소설

#문학동네

한 사람으로서의 자은은 하지 않을 일을, 관직에 있는 자은이라면 망설임 없이 할 것이었다. 거인의 손가락 중 하나이기에 어딘가 구름 속에 있는 머리가 시키는 대로 행했을 것을 부정할 수 없었다. 더 큰 힘에 종속되어버렸다. 그 힘을 끌어 쓸 수 있는 대신 본연의 모습과는 멀어지고 있었다. 스스로만 느끼는 줄 알았더니 곁의 인곤도 알아챈 모양이다.
- P78

적당히 하고 놓아주소서. 피비린내가 아닌 먹비린내의 세계로 돌려보내주소서. 그리되게끔 만사가 맞물리게 해주소서. 도은의 소원은 묘한 것이었다.
- P167

요즘 생각하기에 나라를 지탱하는 것은 뛰어난 인물이 세우는 큰 공이 아니라 예사로운 인물들의 촘촘한 일들이 아닌가 싶습니다. - P2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