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재무제표 투자의 힘 - 주가 흐름이 단숨에 파악된다!
차영주 지음, 김수헌 감수 / 클랩북스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식 초보자가 꼭 한 번(이상) 읽어야 할 책.”

평소 재무제표 공부는 어렵다는 선입견이 있었다.

하지만, ‘거인의 어깨2’를 읽기 위해서 사전 작업으로 이 책을 읽었다.

 

재무제표에 대한 내 예상(두려움)과는 다르게,

저자는 재무제표에 대해 정말 쉽게 풀어서 알려준다.

 

2020년 동학개미운동 이후 투자자들도 많이 변했다.

유튜브나 책 등으로 공부한 개인투자자들이 재무제표를 통한 매매에 익숙해져 가고 있다.

남들은 점점 똑똑해지는데, 나는 아직도 감으로만 투자하고 있다면,

승률은 어느 쪽이 높을까?

 

그동안 재무제표에 대한 나의 두려움? 또는 어렵다는 선입견은

사실 재무제표를 공부하기 귀찮아서 핑계를 댄 게 아니었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승률을 높이려면 결국엔 재무제표를 공부해야한다.

(느낌) 투자, 기도매매하는 방식으로는 내 소중한 자산이 점점 녹는다...

 

현재 주식시장에 가장 적합한 가치평가 방법은 무엇일까?

기업의 가치 판단은 재무제표와 함께 투자자의 선호도에 따라 측정 방식이 변한다.

 

재무제표는 정량적 분석(기본적 분석),

투자자의 선호도는 정성적 분석(심리 분석)이라는 한다면,

결국 정량, 정성적 분석을 통해 투자해야 승률이 오를 것이라고 생각한다.

둘 다 잘해야 한다는 뜻이기도...

 

재무제표와 수익률의 관계

재무제표와 투자 수익률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 사실은 재무제표를 힘들게 공부할 필요가 없다는 핑계로 활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분명한 것은 가치투자로 돈을 번 투자자들 중 재무제표를 활용하지 않았다는 이야기는 듣지 못했다.

 

초보지만 그동안의 경험을 되새겨보면, 나는 차트를 이용하거나, 발 빠른 트레이딩으로는 돈을 못벌겠다는 생각이 들었고,(아마 일반 직장인이라면 위 방법으로는 힘들지 않을까 생각함)

가치투자 공부를 시작해보고자 이 책을 읽게 되었다.

 

투자를 운에 맡길 것인가, 기준점을 잡아서 할 것인가?

기준점을 잡기 위해 재무제표 공부는 필수. 우선 기준점이 되려면 가시적으로 눈에 보여야하는 무언가가 있어야할 듯하다. 그것이 매크로에서는 실업률, CPI 같은 것들이 될 것이고, 기업에서는 재무제표이다. 따라서 탑다운 방식이든 바튼업 방식이든 재무제표 분석은 필수라는 것.

 

책에서는 재무제표에 관한 단어들을 설명해주는데, 영업이익률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이 특히 좋았다. 흔히 실적을 보라라는 말의 의미를 조금은 알 수 있었다.

 

책의 마지막 챕터에 나만의 원칙 만들기내용이 정말 좋았는데,

종목 pool에 관한 얘기, 매매일지 기록 단계등 구체적인 가이드를 따라해보면 좋을 거 같다.

이거 따라해보려고 읽은 것 같기도하다.ㅎㅎㅎ

 

나는 지수etf 와 대형주 투자만 했었고, 매크로만 파악하려고 했었는데,

매크로 예측과 공부는 정말 너무 방대하고 힘들다는 생각이 들었다.

세상은 복잡계이므로 예측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것도 깨달았다.

거인들이 했었고, 조언하는 기업을 공부하고 기업에 투자하는 방법이 옳은 방향이 아닐까 하는 마음이 생겼고, 그래서 재무제표 책을 읽어보리라 생각했었다. 그런데 다른 재무제표 책들을 잠깐 보았는데 너무 어렵게 느껴졌었다. 그에 비해 이 책은 정말 초보자가 읽기에 너무 좋은 책인 듯하다. 쉽고 간결하게 설명해준다. 정확하게 알수록 쉽게 설명한다고 생각한다.

여러 번 읽어볼 가치가 있는 충분히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시, 케인스 - 다음 세대가 누릴 경제적 가능성
존 메이너드 케인스 외 지음, 김성아 옮김, 이강국 감수 / 포레스트북스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제학에 대해 아는 것이 거의 없지만케인스라는 인물은 들어보았다.

내가 알고 있는 케인스는  경기후퇴와 불황에 대해 재정정책을 사용할 것을 강력하게 주장했고완전 고용을 실현·유지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개입 없이 시장에만 경제를 맡기는 자유방임주의가 아닌 정부의 개입과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학자라는 정도만 알고 있었다.


케인스의 재정정책 외에 그가 생각했던 미래는 어떠한지 그리고 현재 저명한 학자들은 케인스의 생각을 어떻게 평가하는지더불어 현재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궁금해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다시케인스라는 책은 케인스가 쓴 100년 후 자본주의의 미래를 예견한 우리 손자 손녀들이 누릴 경제적 가능성이라는 에세이에 대해 21세기의 경제학자들이 답하는 형식의 책이다우리 손자 손녀들이 누릴 경제적 가능성에서는 자본주의의 성장과 불평등부와 노동여가와 문화소비주의에 대해서 설명한다.


케인스는 2030년의 자본주의를 예측하면서 소득은 8배 이상 증가할 것이고소득이 증가하면 노동 시간은 줄어들고 남은 시간은 여가에 쓸 것으로 생각했다그러나 현재의 우리는 그런 삶을 살고 있지 않다현재 우리들의 삶을 보면 여가 시간은 노동 시간에 비해 적게 느껴진다소득은 증가했으나 여가 시간은 늘지 않았다어쩌면 더 많이 소비하기 위해서 더 많이 일하고 있는 듯하다.

그 이유에 대해 여러 학자들이 다양한 견해를 제시하는데그 중 공감가는 것은 주위 사람보다 더 잘 살기 위한 욕구그 욕구가 더 일하게 했다는 것이다책에서 어쩌면 케인스도 다른 경제학자들처럼 여가를 소비의 대체물로 여겼지만실제로 여가는 소비의 부속물인지도 모른다.”라는 구절이 나오는데상당히 의미심장했다.


특히 8장 역사적 맥락으로 본 경제적 행복의 글들은 매우 흥미로웠다사람들이 생활 수준을 평가하는 데 두 가지 잣대가 있는데하나는 자신이 과거에 비해 얼마나 잘 사는가이고다른 하나는 주위의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여 잘 사는가라고 말한다경제기술의 발전으로 과거에 비해 잘살고 있다하더라도 그것이 우리에게 크게 와닿거나 하지는 않는 듯하다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주위 다른 사람들보다 잘사는가라는 평가아닐까.. 요즘 인터넷에서 자주 보이는 글에 방증이 있다“sns 때문에 결혼,출산이 힘들어졌다.”는 글이다기술의 발전으로 다른 사람들과의 비교가 훨씬 쉬워졌고박탈감 또한 커졌음이 분명하다.심지어 주위 사람이라는 비교대상의 범위도 매우 넓어졌다지난 수십여년간 경제기술의 성장만큼이나 개인의 행복이 커졌다고는 생각할 수 없다.


노동과 여가가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견해도 재미있었다노동을 하는 게 행복하다면그게 곧 여가라는 것이다기존의 내 생각과는 많이 달랐기 때문에 흥미로웠는데예시로 든 내용을 읽다보면 학자의 말에 일리가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또한책의 묘미이기도한데케인스의 예견에 답을 하는 과정에서 학자들이 내놓는 여러 가지 가설과 견해들을 읽다보면 노동과 여가에 대한 다양한 생각들을 접할 수 있다이 책은 결국 경제적 성장(소득)이 개인의 행복(여가)을 담보하는가?’에 대한 고민을 담은 책인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