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문학 기행 - 방민호 교수와 함께 걷는 문학 도시 서울, 개정증보판
방민호 지음 / 북다 / 2024년 12월
평점 :
북다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서평입니다.

서울 문학 기행
방민호
북다
18800원
서울의 문화적 낭만적인 도시의 역사에 대해 알아가며 서울을 더 알아가고 싶어서 도서를 읽게 되었어요
서울은 박물관, 미술관이 많이 밀집되어 있는 곳이라 작품들 보러 많이 다녔었는데
문학인의 시점으로 또 다른 시각을 얻을 수 있어서 좋았고 많은 걸 배웠어요.


경성 모더니즘의 탄생
조선이 근본적으로 농경 사회였던 가운데 오로지 경성만이 모던화를 겪고 있었다는 점.
이상은 여러 편의 문학 작품이 있는데 그중 「종생기」와 「날개」라는 작품을 살펴보면
이상의 창작 방법인 알레고리적 이야기를 볼 수 있습니다.
"나는 벼를 본 일이 없다"라는 알레고리적 작법이 도시 공간에 건축물들이 들어서는 과정을 직접 목격하며 성장했다는 사실을 암시합니다.
알레고리적 작품은 쉽게 말해 우화라고도 합니다
사소설적 관점에서 벗어나 다른 시각으로 작품을 판단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이상의 알레고리적 작법이 있어서 작품의 시대나 시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과거와 현재, 미래까지 연결되어 언제 어디서나 나름의 방식으로 독해를 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말합니다.
지금도 「날개」를 읽은 외국 학자들은 이 소설을 매우 동시대적이며 현대적이라고 평가합니다.
이상은 극단의 시대 살았으며 그가 살던 시공간 전체에 혁명이 일어나고 있었다 말합니다. 이를 날카롭게 분석하고 본질을 꿰뚫어 보며 재구성한 게 그의 소설이라고 합니다.
책을 읽으며 그 시대로 들어가서 문학인의 삶을 생생하게 직접 보는 것처럼 느껴질 정도로 디테일하고 구체적으로 묘사해놓아서 읽는 내내 이해가 잘 되었고 흥미로웠어요.
12인의 문학인들의 작품을 어떤 시각으로 봐야 하는지 알려주며 오해와 잘못된 해석을 전문가의 시각을 배울 수 있는 계기가 되었어요.
이상, 윤동주, 현진건, 박태원, 박인환, 김수영, 이광수, 나도향, 임화, 손창섭, 이호철, 박완서 12인의 문학작품을 문화적 상징적으로 탐구하며 시대를 초월해서 문학적 장소들을 탐구할 수 있다는 점이 이 책의 큰 매력이네요. 서울의 문학뿐만 아니라 역사를 알게 되었던 도서에요
단순 기행문이 아닌 서울을 더 넓게, 더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며 서울 곳곳 문학의 흔적을 찾아 배어있는 삶의 이야기를 엿볼 수 있는 도서라 합니다.
책을 읽고 나서 서울을 여행할 때 곳곳에 남아있는 문학 작품들을 보러 다니게 될 것 같네요.
한국의 근현대 문학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은 분들이라면 꼭 읽어볼 만한 도서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