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모르는 건 슬픔이 됩니다
히토쓰바시대학교 사회학부 가토 게이키 세미나 지음, 김혜영 옮김, 가토 게이키 감수 / 해피북스투유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히토쓰바시대학교 사회학부 가토 게이키 교수를 주축으로 학부생들이 모여 한반도 근현대사.한일관계사 세미나를 열었고 그 세미나에 참가한 학생들의 시점에서 한국을 바라보며 드는 생각들을 기록한 책이다.


나도 일본에 대해 긍정보다는 부정 이미지가 있어서 여행가고싶은 나라 리스트에 일본은 없다.
거리상으로는 아주 가깝지만 마음의 거리는
아주 멀게 느껴졌다.
일본어는 학창시절 제2외국어였음에도 관심갖지않았다.
음식만 빼고는 일부러라도 일본과 관련이 있는거라면 거부반응을 보였다.

그러다 이 책을 만났다.
출판사의 제안으로 알게된 책인데 제목과 내용이 마음을 움직였다. 흔쾌히 읽어보겠다고 답했다.
진심으로 잘못된 생각을 바로 잡겠다는 마음이 전해져서일까 잘못은 윗세대가 했는데 젊은 사람들이 뉘우치는 모습이 안타까웠다.
또한 이런 마음을 용기내어 세상에 알린 대학생들이 있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세미나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돌아가면서 한국에 대한 생각을 끄집어내어 기록한 이 책이 많이 읽혀지면 좋겠다.

책 속 문장

우리 일본인은 우선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정치 문제가 아니라 인권 문제로 바라보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피해자를 기억하고, 점이 아닌 선으로서 '해결'하기 위해 우리 자신이 밀접하게 연관된 문제로 인식하면서 일본 정부에 요구해 나가면 어떨까


일본인이 생각하는 반일은 가해 역시를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나온 단어이자 발상이고, 그건 노골적으로 혐한을 외치는 사람만의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해.

나는 고등학생 때 그렇게 열심히 세계사를 공부했건만 그 본질을 전혀 알지 못했다. 역사를 남의 일로만 취급했다. 차별과 편견이 싫어서 바꾸고 싶다고 누누이 말해놓고서 어째서 오래
전부터 일본에 존재한 편견과 차별을 이렇게나 모르고 지낼 수 있었을까. 나도 어쩌면 마음 저 깊숙이 편견을 갖고 있었던 건 아닐까. 나도 어쩌면 식민지 지배라는 과거를 외면하고 있던건 아닐까.


*이 글은 해피북스투유의 제안으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