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짭짤한 작은 상점
김유인 지음 / 메리포핀스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앱테크와 블로그부터 주식 투자까지. 월급 하나만으로 생활할 수 있는 시대는 지났기 때문에 저도 다양한 방법으로 부수입을 벌어들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이런 부수입들은 기본적으로 월급이라는 큰 줄기가 있기 때문에 가능한데요. 오늘은 여기에 한 발 더 나가서 다양한 일로 수익을 내는 N잡에 대한 경험담을 들어볼 수 있는 <나의 짭짤한 작은 상점>을 읽어봤습니다. ​



회사를 다니면 그럴 때가 많은 것 같아요. 너무 열심히 하지 않기. 열심히 해서 그만큼 성과가 돌아온다면 누구나 다 열심히 하겠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거든요. 드라마에 나오는 것처럼 내 실적을 상사가 가로채는 것처럼 엄청난 일부터 소소하게 내 노력에 묻어가는 사람들까지.. 다양한 일들을 겪다 보면 정말 열심히 일하는 게 꺼려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적당히 잘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이야기를 하려 했다는 저자의 말에 관심이 생겼어요. ​


가진 것은 약간의 손재주와 글재주였던 저자는 스무 살의 나이에 곰신 카페에 가입하게 됩니다. 이때 남자친구에게 보낼 소포를 카페에 올리게 된 것이 계기가 되어 첫 온라인 판매를 하게 되는데요. 원가에 판매한 탓에 이익을 보지는 못했지만, 온라인에서 판매를 할 수 있다는 경험을 얻게 되었고 이 경험이 다음 판매로 이어졌다고 합니다. 소포를 꾸리고 기념일 초콜렛 꽃다발을 만드는 일은 시간과 정성이 들어가는 일이지만 돈이 되는 일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 가장 큰 수확이 아닐까 싶은데요. ​



​ 물론 성공담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실패담도 함께 알아볼 수 있는데, 흥미로운 것은 실패담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물론 실패담을 통해서 우리가 배울 수 있는 것도 있겠지만, 일어나지 않은 일에 대해서만 대비하는 것보다 오히려 어떻게 해야 성공해야 될지에 대해서 고민하는 것이 낫다는 것이었는데요. 보통 창업 준비를 하기 위해서는 실패기를 더 많이 보게 되는데, 이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 같아요. ​ 여러 가지 재능을 짭짤한 작은 상점으로 이어지게 만든 저자의 노하우를 엿볼 수 있는 <나의 짭짤한 작은 상점> 이었습니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아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