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 호랑이 탄 한국인과 놀다 - 우리 이야기로 보는 분석 심리학
이나미 지음 / 민음인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분석심리학의 대가인 칼 융이라는 심리학자의 이론은 토대로 우리나라의 전통 민화나 속담, 우화 등을 풀어서 쓴 글이다. 처음에 봤을 때 단순하게 느껴지는 민화나 전설이 새롭게 다가오는 듯한 느낌이었고 기존에 알고 있는 옛날이야기에 대한 색다른 해석을 잘 볼 수 있었다.

 개와 고양이라든가 견우와 직녀 등 우리가 어렸을 적부터 너무나 많이 들었고 좋은 뜻이건 나쁜 뜻이건 그 자체로 받아들여진 이야기들이 이 책에서는 새롭게 가공되고 창조되고 해석되는 거 같다. 견우와 직녀를 우주의 질서와 체계를 위한 자기희생으로 보는 관점이라든지 개와 고양이를 인연이라는 그물망에서의 나눔으로 보는 일반 사람들의 관점과 상이한 견해를 보면서 심리학이라는 것이 좀 더 깊은 현실을 이야기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교 때 심리학에 대한 강의를 여러 차례 들어봤지만 다소 어렵게만 느껴진 것이 사실이었다. 하지만 이 책은 전문적인 용어나 설명을 가급적 쉽게 풀어쓰고 사용함으로써 독자층의 이해도를 높이려 한 것은 사실인 듯싶다.

 분석심리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통해서 우리의 옛날이야기를 읽게 되니 무심코 지나친 이야기속의 특정 부분이 상당히 중요한 복석이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저 흘려듣고 전체적인 이야기 속에서 한줌의 모래와 같은 부분도 분석심리학에서는 결코 가볍게 취급하지 않고 나름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보면서 새로운 세계 속에서 책을 읽는 거 같은 느낌이었다.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약간의 생각하는 마음으로 읽는다면 나름 독특한 면을 찾을 수 있을 듯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