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 대를 위한 교실 밖 경제학>학교에서 경제 수업을 필수로 가르쳐야 되지 않냐는 말이 심심찮게 나온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 활동과 개념은 반드시 필요한 지식이고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점은 분명하다.최근 들어 공교육에서 경제를 다루는 수요가 커진 이유는 코로나 시기를 겪으면서 대국민이 투자자가 되었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천정부지로 오르는 부동산 가격과 노동력으로 벌어들이는 근로 소득만으로는 내 집 한 채 마련할 수 없는 세태가 투자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었고 돌반지 대신 주식 통장을 만들어준다고 할 정도로 남녀노소 투자자가 되었다.꺾은선 그래프를 어디에서 봤냐는 질문에 기온을 말하던 아이들이 주식과 코인을 말할 때 시대가 정말 바꼈고 제대로 된 경제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체감했다. 우리는 투기가 아닌 투자를 해야 하니까.이 책은 산업혁명과 공황, 뉴딜을 비롯한 세계 경제의 흐름과 보이지 않는 손으로 비롯된 시장 경제에서 수정 자본주의를 거쳐 지금에 이르기까지 쉽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 기본적인 경제 개념과 흐름에서 비롯된 교과서에 나오지 않는 이면을 다루고 있는 점이 경제학을 기반으로 철학과 인문학을 두루 다루며 자본만능주의에 현혹되지 않고 공동체를 둘러 보게 만든다. 투기가 아닌 투자자가 되어야 하고, 높은 GDP가 그 나라의 모든 국민이 행복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말하며 우리가 누렸던 발전과 편안함의 대가로 기후위기가 왔음을 언급한다. 특히 전쟁 지역에 얽혀있는 경제 문제는 이권 다툼으로 희생되는 수많은 사람을 생각하게 만들었다.GDP 세계 12위인 대한민국이 경제적으로 풍요함에도 불구하고 자살률 1위와 저출산 1위를 기록하는 문제 역시 돈이 최고라는 사회 인식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제대로 된 경제 교육으로 자기 자신만 잘 사는 세상이 아닌 공동체가 더불어 행복한 사회가 되길 바라본다.*호모 인베스투스는 타인과 공동체에 무관심합니다. 그는 공동체가 없이 덩그러니 홀로 서 있는 개인이며, 우리가 호모 인베스투스가 될수록 세상에서 벌어지는 차별과 배제, 불평등에 무감각해집니다.*학교에서의 교육은 학생이 세상을 알아 가고, 자신의 잠재력을 찬찬히 찾아 가면서 삶의 주인으로 살아갈 준비를 돕는 시간입니다.*잉여 가치를 크게 하기 위해서 자본가는 노동자에게 돌아가는 몫을 낮추거나 노동 시간을 늘리거나 노동 강도를 높이는 방식을 써요.*정치 체제로서 민주주의와 독재가 서로 대비되고, 경제 체제로서 자본주의와 사회주의가 대비되는 것이죠.*전쟁이 단지 집단 간 갈등 양상이 아니라, 자본주의 경제에서 비롯되는 건 아닌지, 경제적 이해관계로 소중한 목숨이 전쟁터에서 희생되는 건 아닌지 곰곰이 생각해 보면 좋겠어요.*자살은 개인의 선택으로 보이 지만 지극히 사회적인 현상입니다. 사회학자들이 자살을 '사회적 타살'이라고까지 말하는 이유죠.*진정한 자유인이 되기 위해서 우리는 학교에서 좋은 교실 공동체를 만들어 갑니다. 나 혼자만의 이익만 앞세 우지 않고, 나와 친구 모두가 행복한 공간을 일궈 나가는 거예요.#십대를위한교실밖경제학 #서재민 #돌베개 #경제교육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