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난 것도 억울한데 병까지 걸린다고? - 나를 살리기도 병들게도 하는 “화병” 사용 설명서
박우희 지음 / 느낌이있는책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억울한 일을 당했거나 한스런 일을 겪으며 쌓인 화를 삭이지 못해 생긴 몸과 마음의 질병인 화병

주로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막히며 뜨거운 것이 울컥 울컥 치밀어 올라오는 증세와 불안, 절망, 우울, 분노가 함께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는데, 미국 정신의학회에서 출판한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에 화병(hwa-byung)이라는 한국식 표기로 공식 등재된 적이 있을 정도로 우리에겐 친숙한 병이다

화가 나는 것을 알아 차리고 원인을 분석하고 나에게 상대의 모습이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며 슬기롭고 지혜롭게 화를 해소하는 것이 좋다는 건 누구나 다 '머리'로는 생각할 수 있지만 그게 어디 쉬운가?

그게 말 처럼 쉬웠다면 화병이라는 병명이 전세계로 뻗어나갈 일은 없었겠지......

영화나 드라마에서 아버지는 뒷 목을 잡고 쓰러지고 어머니는 머리에 흰 띠를 두르고 몸져 누으시며 자식은 소리를 고래고래 지르다 집을 뛰쳐나가는 장면을 보다 보면 화의 표출 방식이나 해결 방식은 저마다 다르다는 것을 느낀다

화가 나면 속으로 삭히는 사람도 있고, 괜히 아무 잘못없는 제3자에게 화풀이를 하는 사람들이 묻지마 살인 사건을 일으키기도 하니 화를 잘 푸는 것, 잘 표출하는 것이 참 중요한 것 같다.

천인지한의원 박우희 원장이 쓴 '화난 것도 억울한데 병까지 걸린다고?'라는 책은 각자의 성격에 맞게 능숙하고 시원하게 화내는 법과 화를 성공에너지로 바꾸는 건강법을 소개하고 있는데, 그 근간은 나를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해야 한다고 한다

그 첫걸음은 '천인지'는 우리 몸을 연결해주는 생명 시스템인 경락을 통해 순환하는 에너지를 말하며 어떤 에너지가 중심이 되는가에 따라 천, 인, 지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는데, 이 유형이 타고난 성격과 성향, 기질을 파악하도록 이끈다고 한다.

생김새와 기질을 통해 구분할 수 있다고 하는데 무 자르듯 하나의 기질만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고 두 개의 기질을 골고루 가지고 있다면 그 중 좀 더 해당하는 것이 많은 쪽으로 봐야할 것 같다

우리에게 친숙한 연예인들을 예로 들고 있어서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었지만 그 보다는 사실 BTS를 비중있게 예로 든 작가의 마케팅 능력에 더 큰 점수를 주고 싶었다

(아미들이 이 책을 본다면 "우리 오빠가 천이라 이랬구나, 지라서 이랬구나..." 하지 않을까?)

천인지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속성과 상관없이 가장 기본적인 것은 나를 화나게 하는 것들을 내보내고, 때론 화가나는 것을 그냥 두되 이해하려 하며 내가 그 화를 통해 다치지 않도록 나를 사랑하며 돌보는 것이 아닐까 싶다

책의 제목처럼 화난 것도 억울한데 병까지 걸리면 그 억울함에 병이 더 깊어질지 모르니 말이다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제공 받았으며 솔직하게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