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알려지지 않은 밤과 하루
배수아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알려지지 않은 밤과 하루>,뒤엉킨 꿈의 잔상 같은 이야기.
배수아작가는 매니아층이 두터운 걸로 익히 이름을 들어 알고 있었으나,
내가 접한 그녀의 소설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때문에 문체와
전체적인 소설의 분위기는 매우 생소했다.
대중적인 작가라기 보단 작가 자신의 문장과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 같다는 느낌이랄까.
그녀의 소설을 읽고 배수아 낭독회를 갔으므로
소설을 읽으며 상상했던 작가의 모습과 목소리, 행동, 표정 등을 직접 이 두 눈으로
관찰할 수 있었는데, 예상 밖으로 그녀는 너무나 발랄하고, 소녀같고,
부드러운 곡선의 유리잔 같은 느낌이었다.
(예상과 들어맞았던건 검정 긴 머리의 헤어스타일과 하얀 피부,
그리고 헐렁한 무명천의 긴 치마였다.)
<알려지지 않은 밤과 하루>는 폐관을 앞둔 오디오극장에서 근무하던
아야미를 중심으로 흘러간다,
쓸쓸해보이는 극장장, 세상에서 자신의 관 위에 흙을 뿌리는 소리라며
이름을 김철썩으로 지었다던 늙은 무명시인,
아야미를 시인 여자로 착각하고 마음에 둔 부하,
그 부하와 때때로통화를 하는 독일어 선생 여니 등의 인물들이 나와
각각의 목소리를 들려준다. 그리고 그 인물들의 존재는 불확실하며 그 특성도 복합적이다.
예를 들자면 극장장은 극장장이기도 하면서 아야미의 아버지가 되기도 하고,
죽은 인물일 수도 살아있는 인물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이렇게 소설에 있어서 형식의 탈피, 인물의 특성에 대한 경계가 없다는것이
대중에게 때로 외면당하기도 하는 단점일 수도 있으나,
‘아 재밌었어’ 하고 덮어버리는 가독성 좋고 즐겁지만
아무런 여운도 남기지 않는 소설과는 달리
좀 더 곱씹고 생각하게 되는 그 무언가가 있다는 것
그 인물들의 고독에 대해 외면당함에 대해 그들 나름의 연대와 애정에 대해
생각할 수 밖에 없는 여운을 남기는것은 배수아 소설의 치명적인 매력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한다.
그리고 그녀의 상세한 인물묘사는 그 인물을 떠올리며 이해해보는 것에
큰 도움을 주기도 하는데,
‘남자는 마른 얼굴에 안와가 동굴처럼 움푹 패였으며 입술이 바삭 말라있었다.
흰자위를 가로지르는 붉은 실핏줄이 무서울 만큼 선명하게 보였다’ 처럼
이미지가 선명하게 떠올라
그들의 행동과 말들을 영상을 보듯이 떠올릴 수 있었다.
그녀의 소설을 읽은 사람들마다 그녀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혼란스러워하며
전개의 흐름이 일정하거나 틀이 짜여 있지 않은 것에 대해 어려움을 호소하곤 하는데,
나 역시 읽는 게 쉽진 않았지만, 그녀의 책을 읽는 독자가 자신을 환상의 나라의 앨리스가 되었다고 생각하면
조금은 편해질지도 모른다.
꿈 속을 떠도는 기분으로 그 안에들어가
그들은 온연히 느끼면 그것이 작가가 원하는 일이 아닐까.
작가가 하고 싶은 얘기 속으로 들어가그 인물들의 감정을,
그 이야기의 흐름을 그저 느끼는 것.
그녀의 소설이 내게 인상적이었던 이유는 사각지대에 있는,
그러나 초라한 자신에게서 벗어나려고도 하지 않는,
그러니까 부끄러워하지도 않는 것 같은 인물들때문이었다.
어쩌면 이 소설의 주인공들처럼 시공간과 존재감 같은 건 무의미한,
그런 사람들이 어딘가에서 살아가고 있진 않을까.
정체가 모호한 어떤 격렬한감정. 심장을 찢어발리고 와해시키고 산산이 부수는 감정.
그러나 이상하게도 동시에 마음을 하없는 심연 아래도 가라앉게 만드는 감정. 나는 감정이다.(p.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