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 사진관
김정현 지음 / 은행나무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처사달성서공용준지구(處士達成徐公庸俊之柩)

 

욕망에 휘둘려 세상밖에서 이름을 욕되게 하지 않고

고요히 초야에 묻혀 사람의 도리를 다한 진정한 선비를 일러 '처사'라고 한다고 한다.

이 책에 등장하는 '나'라는 사람이,

이 책에 등장하는 주인공 '서용준'이란 사람에게 붙인 칭호이다.

 

자신의 마음 안에서는 폭풍이 휘몰아 친다해도,

그 마음을 밖으로 표출하지 않고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모든걸 고요하게 만들어버린 주인공.

 

고향사진관은 그의 아버지의 상징이기도 하지만,

세상을 의연하게 살다간 서용준의 상징이기도 하다.

 

서용준, 그는 수재였고

세상이 말하는 가능성을 한껏 품고 있는 사람이었고

그에 버금가는 강인함도, 정의를 판단할 줄 아는 지혜도

한 사람만을 볼 줄 아는 듬직함도 가지고 있는 사람이었다.

 

그런 사람이 뇌졸증이라는 병명으로 숨만 쉬고 있는 아버지 곁을

세상의 모든 즐거움을 포기하고,

자신이 판단한 것들을 조용히 받아들이는 17년동안의 과정을,

그리고 그 곁의 소중한 사람들이 더불어 도움을 주고 도움을 받는 과정을

너무나 따뜻하게 그린 이 책은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옳은가,에 대해 누구에게나 생각할거리를 제공해주리라.

 

하고 싶은 것이 없었기에, 그리 가지고 싶은 것도 없었기에

미련도 후회도 남지 않는다는 주인공의 마지막 말은

다만, 자신의 곁을 지키고 있던 사람들의 마음만이 죄가 된다는 그의 말은,

사람이 살아가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사람이구나. 하는 생각을 들게 했다.

 

17년동안 눈도 깜빡이지 못하는 아버지 곁을 묵묵히 지켜온 그는

그 강인함과 묵묵함으로 자신의 아버지처럼,

사람들에게는 언제나 비빌 수 있는 언덕이 되고 싶어했고,

정말 그렇게 살다가 자신 또한 암으로 생을 마감한다.

 

그의 생애를 읽어가다가 보면,

어쩌면 그렇게 억울한 생을 살 수가 있을까,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것이다.

하지만 자신의 어이없는 죽음 또한 담담하게 받아들이고

가족들에게 사랑을 전하면서 죽어가는 주인공이

나는 그렇게 부러울 수가 없었다.

그는 세상의 사람들이 추구하는 세상의 성공은 스스로 버렸지만

다른 사람들이 가지지 못하는, 이상적인 부부,부모,자식,친구의 연을

너무나 완벽하게 얻었고 그 안에서 분명 행복했을 것이다.

 

아직은 세상이,

이 책으로 인해 울고 웃을 수 있었으면,

그 정도의 순수함은 가지고 있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보면서

이 책을 만나 따뜻해진 마음을 세상에 전해야겠다 다짐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도익 2009-01-15 10: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식물인간 남편을 17년이나 한결같은 마음으로 지극 정성다하여 보살피다 이세상 먼저보내고 아들마져 먼저 이세상에서 머미보다 먼저 보내야하는 어미의 찢어지는 아픈 마음에 눈시울이 붉다몬하여 손수건을 적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