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을 위한 청소년의 세계
김선희 지음 / 김영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소개

▷ 어른을 위한 청소년의 세계

▷ 김선희

▷ 김영사

▷ 2022년 06월 17

▷ 280쪽 ∥ 416g ∥ 140*205*17mm

▷ 자녀교육/에세이

 

 

◆ 후기 

내용》 편집》 추천

 

 

 

 

 

” 그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 “보다 높임의 뜻을 나타낸다의존명사로서 사람의 이름 다음에 사용하여, “보다 두 배 높여 이르는 말이다홍길동 씨도 충분히 상대를 존중하는 말이다이에 더해 은 상대에 존경의 마음마저 들어가는 말이다이게 참으로 재미있는 게, “은 구어체(말하기)에서 사용하지만문어체(글쓰기)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말이다예를 들어 사장님 지시사항은 틀린 말이고사장 지시사항이 옳은 표현이라고 한다특히 선생이라는 단어가 학생을 가르치는 사람학예가 뛰어난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이기에, “선생님이라는 표현은 역전앞과 다를 바 없으며무엇보다 더 존경하지 않으면서 을 남발하는 오늘날의 표현은 매우 부적절하다 하겠다세상에서 제일 듣기 싫은 말이 고객님이다존경한다면 그따위로 상담하지 않을 것이다.

 

 

 

 

 

“‘선생님과 이야기를 나누고 나니 한결 가벼워요.’ 아이는 어느새 자긍심마저 깃든 환한 목소리로 말했다그렇다면 당분간 내가 예진이처럼 너와 같은 입장에서 이야기를 나누며 다시 일어설 때까지 힘이 되어주면 어때? ‘좋을 것 같아요.’ 전화기 너머로 반기는 현아의 표정이 보이는 것 같았다.”

 

 

지금은 법적으로도 폭력이 금지되었기에 이런 분위기 속에서 성장한 요즘 아이들은 우리 어른 세대에 비해 인권 감수성이 한층 예민하다공공연하게 폭력을 당해온 어른 세대 중 일부는 가정학교직장에서의 폭력에 익숙해져 있다 보니 아이가 폭력 피해를 호소하면 이러다가 아이가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면 어쩌지?’하고 염려하곤 한다혹은 오히려 어느 정도의 폭력은 받아낼 수 있어야 한다라고 가르치기까지 한다심지어 자신이 너무 존중하며 키워서인지 아이가 폭력에 과민한 것 같다는 불필요한 반성을 하기도 한다.”

 

 

 

 

 

2001년 영화 친구에게서는 재미있는 장면이 있다담인 선생 역을 맡은 김광규가 아이들의 뺨을 마구 때리면서 느그 아부지 머하시노?” 대사는 아직도 우스갯소리로 많이 따라 하는 말이다. 2004년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에서는 교련 선생이 군사훈련에서나 주는 얼차려를 학생들에게 시킨다마대로 후려치고주먹으로 때리고발로 차고등장하는 선생들은 하나같이 지휘봉을 가지고 다니면서 학생들을 후려친다영화는 심의가 있어서현실에서 일어나는 것의 10/1도 채 보여주지 못한다불과 2~30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가관이었다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선생이란 작자들은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보다 패는 일을 더 많이 했다만삭의 몸으로 수학을 가르치는 어느 여교사는 수학 시험 채점지를 보고틀린 개수만큼 손등을 지휘봉으로 내려쳤다학급성적이 학년에서 꼴들을 하면시멘트 바닥에 원산폭격을 시키거나책상 위로 올라가서 무릎을 꿇고 맞아야 했다칠판을 짚고 마대로 엉덩이를 맞는 것은 매우 약한 처벌이었다나는 그런 인간들이 있는 학교가 싫었고평생에 개근상이란 걸 받아 본 적이 없다존경이 아니더라도 좋아하는 선생이 평생 단 한 명도 없다무인도에 가져갈 수 있는 것이 세 가지라면검사·판사·변호사를 데려갈 것이고네 가지라면 교사를 포함할 것이다이 생각에는 지금도 변함없다.

 

 

 

 

 

첫 단추가 잘 못 끼워지면 마지막까지 삐뚤어진다첫 페이지부터 자신을 선생님이라고 표현하는 저자의 글을 보고 그냥 할 말을 잃었다교사란 무어인지교사는 어떤 일을 하는 것인지자신의 직업에 관해 단 한 번이라도 생각해본적이 있느냐고 말이다법으로 체벌이 금지되어서 물리적으로 폭력은 행사하지 못하지만여전히 그들의 뇌 구조는 30년 전과 달라진 게 없다존경이라는 것은 스스로 하는 것이 아니라타인의 진정한 마음으로 비롯되는 것이다나는 이런 교사들에게 내 아이를 결코 맡기고 싶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