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명가 : 재계편 - 한국 경제의 개척자들 한국의 명가 4
김덕형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소개

▷ 한국의 명가 재계편

▷ 김덕형

▷ 21세기북스

▷ 2022년 05월 11

▷ 328쪽 ∥ 612g ∥ 152*225*30mm

▷ 경제사

 

 

◆ 후기

내용》 편집》 추천

 

 

 

 

 

기업은 상법에 따르면 회사란 상행위나 그 밖의 영리를 목적으로 설립한 법인을 말한다.” 정의하고 있다기업은 이윤을 획득을 목적으로 하는 자본의 조직단위이자생산수단을 소유한 자본을 말한다자본주의와 주식회사가 먼저 시작된 영미에서는 Firm, Company, Corporation, incorporation, enterprise 등 매우 다양한 단어들이 존재한다그만큼 다양한 형태의 기업이 존재한다는 것이며 재단법인사단법인도 기업의 범주에 들어간다기업의 가장 큰 특징은 자본과 노동의 분업에 있으며자본과 노동이 일치한 형태를 가내수공업이라 칭한다.

 

 

 

 

 

창업주(創業主회사 따위를 처음으로 세워 사업을 시작하는 데에 주체가 되는 사람을 말한다나는 주인 주를 쓰는 저 말이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가내수공업으로 시작했을지언정 기업으로 일구었으면 회사의 주인이라는 명칭은 옳지 않다창업자(創業者)가 옳은 표현이라고 생각한다기업은 법인으로서 법적인 권리와 의무를 자연인과 비슷하게 받으므로자연인인 법인의 주인이 된다는 것은 노예제의 부활과 다름없다.

 

 

 

 

 

P.017 “활명수로 독립운동한 선구자들노천 민병호·민강 부자와 보당 윤창식은 활명수로 유명한 한국 최고 제약사 동화약품을 창업·승계하여 제약보국을 실현한 우국지사들이다동화약방(현 동화약품)을 창립한 것은 1897년 9그해 10월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할 때보다 빨랐다한국 기업 전체로도 두산그룹(1896년 창업)에 이어 두 번째로 태어난 뿌리 깊은 기업이다중략》 이뿐만이 아니다동화약방은 나라와 민족을 위해 헌신한 항일 민족 기업으로 각인돼 있다민강 사장은 1909년 항일 구국 단체인 대동 청년당의 결성에 참여해 적극적으로 독립운동에 나섰다.”

 

 

P.206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대물림수암 이재준은 건설업 기반 국내 대기업 중 가장 오래된 대림그룹 창업자이다대림은 경영 기반이 탄탄하기로 유명한 기업이다. 2014년을 제외하면 창사 이래 적자를 낸 적이 한 번도 없으며, 1966년 해외 건설 시장에 진출한 이래 36개국에서 600개 이상 프로젝트를 완수했다중략》 대림산업은 이에 가담하지 않았다이것은 대림이 정치 권력과 결탁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사업을 끌고 가는 계기가 됐다그러나 대림의 이 같은 초연한 태도로 인해 같은 건설 업계에서도 모략을 당하기 일쑤였다중략》 이준용 명예회장은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몸소 실천하는 재계의 대표적 원로 경영자로 꼽힌다. 2015년에는 조선일보사로 찾아와 2,000억원 개인 자산 전액을 재단법인 통일과나눔에 선뜻 내놓아 세상을 놀라게 했다.”

 

 

 

 

 

저자의 한국의 명가 시리즈 중 기업의 창업자들 이야기이다민병호박승직허만정구인회이병철정주영이재준신용호신격호김종회서성환최종건박태준김우중 등 23명의 이야기를 엮어냈다아산 정주영의 불도저 정신어떠한 인생에도 낭비라는 것은 없다던 이병철 등 오늘날 현대와 삼성이라는 기업을 일궈낸 인물이다하지만 그 사람들의 이야기에서 나는 아무런 감흥이 없었다독립운동을 선구한 동화약품정치 권력에 더러운 뒷돈을 내놓지 않아 온갖 불이익을 당한 대림그룹 이들이 한국의 명가이다. Noblesse oblige(노블리스 오블리주귀족은 의무를 진다는 프랑스 말이다나는 현대와 삼성이 자신들의 이익만 가졌지지금도 의무를 지는 것은 한 번도 못 봤다잊히거나 권력에 사라진 진짜 기업들을 찾을 수 있어서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