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에 관한 오해 - 관계를 망가뜨리는 10가지 잘못된 믿음
개리 르완도스키 지음, 이지민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소개

▷ 사랑에 관한 오해

▷ 개리 르완도스키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2년 04월 27

▷ 308쪽 ∥ 484g ∥ 145*215*30mm

▷ 인문학/심리학

 

 

◆ 후기 

내용》 편집》 추천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존 그레이의 모든 서적과여자의 뇌여자의 발견악마의 연애술사랑은 과학이다사랑하지 않으면 아프다클럽에서 만난 남녀는 왜 오래가지 못할까?유혹의 달인인어공주가 다른 남자를 만났다면인어공주는 왜 결혼하지 못했을까?똑똑하게 결혼하라똑똑하게 사랑하라』 外 라면 한 상자의 책들이 더 있지만사랑을 책으로 배운 이 사랑에 관한 이야기를 써보려고 한다.

 

 

 

 

 

사랑(, love) 어떤 존재를 몹시 아끼고 귀중히 여기는 마음남녀 간에 좋아하는 마음열렬히 좋아하는 대상(물질도 가능). ‘Love’는 라틴어 ‘Luverne(기뻐하다)’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그리스도교는 유일신을 숭배하는 종교이며인간과 물질적인 관계를 뛰어넘는 초월적인 좋아하다 의 표현이 필요했을 것이고그래서 사랑이라는 말로 신을 찬양한 것으로 생각된다동양에서 낯선 이 말은 하늘만큼 땅 만큼 좋아해보다 더 큰 신적인 표현이 필요해서 생긴 말이다그렇다면 당신을 사랑한다.’라는 말은 당신이란 존재를 신격화하는 표현이 아닐까?

 

 

 

 

 

수많은 서적으로 사랑을 익혔지만 당신의 애인이 내 친구의 깻잎을 잡아주는 행동을 용납할 수 있는가?” 그 어느 책에도 깻잎이 나온 적은 없다차라리 나에게 닭이 먼저냐알이 먼저냐?” 묻는다면 명쾌하게 대답할 수 있다병아리를 낳다 보니알로 낳는 게 편해서 알을 낳았다고 말이다온라인상에서는 깻잎 논쟁으로 아직도 갑론을박하며 뜨거운 감자라고 한다대단한 사람들이다…….

 

 

 

 

 

P.044 남자와 여자는 정말로 다를까?」 아니다절대로 아니다남자와 여자가 완전히 다르다는 믿음은 가장 만연한 동시에 해로운 오해이자 관계의 잠재력을 인위적으로 제한하는 오해다쉬운 질문을 하나 던져보겠다남자와 여자 중 누가 더 낭만적일까여자라고 답했나틀렸다이것은 잘못된 믿음이다.” 나는 내가 제일 낭만적이라고 답했다.

 

 

P.133 사랑은 뇌에 반응한다」 사람들이 자신의 관계에서 가장 궁금한 질문은 잠자리를 얼마나 자주 해야 하는가?’일 것이다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토론토-미시소거 대학교 연구진들은 30,000명이 넘는 미국인들의 성생활을 살펴보았다중략》 그렇다일주일에 한 번, 1년에 52번이었다.” 일주일에 한 번 이상 백 번을 해도 행복의 감정이나 삶의 만족도 향상은 없었다고 한다.

 

 

 

 

 

 

먹는 것만큼 많이 하는 것이 사랑이다그러므로 인류가 문자를 발견한 이후 사랑만큼 많이 쓴 책이 없을 것이다그럼에도 여전히 사랑에 관한 책은 많이 팔리고연구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이 책은 그중에서도 관계의 기술에 집중한 책이다상대방을 너무나 배려하는 이타적인 사람’, 자기만족만 추구하는 이기적인 사람’ 들은 모두 육체적·심리적으로 삶의 만족도가 낮다고 말하고 있다저자는 자기 확장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데우리가 흔히 들어온 말이다. ‘자신을 사랑하지 못하면타인을 사랑하지 못한다.’와 맥을 같이 한다자기와의 관계에서 자기에게 솔직하지 못하고자기의 위치를 낮추고자기 스스로 만족하지 못하면 상대에게까지 관계확장을 할 수 없다고 말이다칼에 베인 내 손이 아픈 경험을 통해 상대의 상처가 아픔을 우리는 알 수 있다버스를 타면서 기사에게 인사를 하는 사람이 있고 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좋고 나쁘고의 문제가 아니라습관의 문제이다나와 상대와의 관계를 아는 것 또한 누적된 습관의 결과물이 아닐까 생각한다.

 

 

 

 

 

 

추천하는 독자

-재미있는 책을 좋아하는 사람

-연인과의 관계기술이 부족한 사람

-사람인데 자신을 곰으로 착각하는 사람

 

 

손바닥도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한쪽 손에 상처가 나면 마주치면 아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