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한자어 속뜻 사전
전광진 엮음 / 속뜻사전교육출판사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이해→사고→기억’ LBH학습법 아시나요?

성대 전광진교수 ‘우리말 한자어 속뜻사전’ 최초 출간

한자어 5만8천개 속뜻 쉽게 풀어써 이해기억 “쏙쏙”

사전 혁신 ‘집념10년’ 전과목 수학능력 향상 모델 창안



사전의 뜻풀이 방식을 완전히 바꿈으로써, 모든 과목의 공부방법을 혁명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교수학습법이 바로 LBH(Learning By Hint). 그리고 LBH 교수학습법을 활용하여 만든 사전이 ‘우리말 한자어 속뜻사전’<표지 사진>. 성균관대 전광진교수(중문과․사진)가 학습법을 창안하고 이 사전을 만들었다. ‘10년의 집념’이 이루어낸 역작이다. 지금껏 이런 종류의 사전이 없었기 때문에 더욱 화제다.


그럼 기존의 우리말 사전과 어떻게 다른가. 우리말은 알다시피 70% 이상이 한자어이나, 기존 사전은 ‘낱말과 정의’로만 풀이되어 있다. 가뜩이나 한자도 어려운데 그 뜻(훈음)을 알 수 없어 찾아봐도 학습에 도움이 안된다. ‘속뜻사전’은 5만 8천개의 단어를 ‘낱말→훈→속뜻→정의’로 기술했다. 예를 들어보자.



부담(負擔)


질 부, 멜 담


등에 짊어지고(負)

어깨에 멤(擔)


어떠한 의무나 책임을 짐


갈등(葛藤)


칡 갈, 등나무 등


칡(葛)덩굴과 등나무(藤)덩굴처럼 서로 뒤얽힘


견해, 주장, 이해 등이 뒤엉킨 반목, 불화, 대립, 충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전교수가 유례가 없는 사전제작이라는 힘들고 고독한 작업에 뛰어든 것은 97년. 학생들의 수학(修學)능력이 한자를 배우지 않은 까닭에 현격히 떨어진 것을 알고부터이다. 어떻게 하면 한자를 쉽게 이해시키고 기억하게 할까를 고민하던 중, 한자어의 속뜻을 알려주니 낱말에 대한 이해와 사고, 나아가 기억력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것이 우리말 중 한자어 5만 8천개를 선정하여 ‘전문사전’을 만드는 계기가 되었고, 힌트(암시)에 의한 학습법(LBH)을 창안하게 된 것.


사재 털어 출간…LBH교육연구소 설립 학습법 전파나설 터


일반 출판사들은 모두 2000페이지가 넘는 원고뭉치를 “적자가 뻔하다”며 외면했다. 할 수 없이 사재를 털어 사전출판을 위한 ‘LBH출판사'를 만들었다. 그의 소망은 초중등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이 이 사전을 적극 활용하여 어휘력과 전과목 수학능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멀지 않아 ’LBH교육연구소‘를 설립하여 이 학습법 전파에 나설 계획이다.


전교수 특유의 뚝심은 ‘늦깎이 공부’에서도 방증된다. 1974년 김천의 성의상고를 졸업한 전교수는 한국은행에 입사, 11년동안 은행원으로 일하다, 배움에 대한 미련을 떨칠 수 없어 81년 성균관대 중문학과 문을 두드렸다. 뒤늦게 시작한 공부는 내처 대만사범대 석사, 대만대학교박사학위(권위있는 학위로 정평이 나있다)를 취득하는 것으로 열매를 맺게 된다. 전교수가 농촌출신(경북 김천)이었기 때문에 교육과 연구의 외길을 걸으며 이런 작업이 가능하지 않았을까. 농삿일(지게질, 쟁기질 등)을 도우며 어렵게 실업계고교를 졸업한 한 수재의 집념의 땀방울이 수십 명이 매달려도 완성하기 어려운 ‘우리말 한자어 속뜻사전’의 페이지마다 올올이 배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