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 물량공세 - 스탠퍼드대 디스쿨의 조직 창의성 증폭의 과학
제러미 어틀리.페리 클레이반 지음, 이지연 옮김 / 리더스북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넷플릭스의 창업자 리드 헤이스팅스가 대여한 비디오 연체료 40달러 때문에 넷플릭스를 만들었다는 일화는 많이 알려진 이야기다. 넷플릭스의 공동 창립자 리드 헤이스팅스와 마트 랜돌프는 우편으로 영화를 보내주는 아이드어를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당시 VHS 비디오는 부피가 커서 우편 배송에 적합하지 않았다. 그러다 DVD라는 새로운 매체가 개발된다. DVD는 5인치의 플라스틱 디스크로 VHS 비디오보다 배송에 훨씬 적합했다. 두 사람은 DVD를 우편으로 보내는 과정에 파손되지 않는지 확인이 필요했다. DVD가 없었던 그들은 음악CD를 자신의 집으로 배송 보내는 테스트를 하게된다. 결과는 CD가 무사히 배송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수천억 달러의 가치를 가진 넷플릭스를 탄생하게 한 테스트에 들어간 비용은 20달러도 되지 않았다.

첫 번째 테스트를 통과한 그들은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전자 상거래 초창기 였던 그 당시 간단한 웹사이트를 구축하여 온라인 판매에 필요한 테스트를 이어갔다. 각종 이미지와 문구, 링크들을 다르게 조합해가며 판매량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실험을 해나갔다. 2주에 한번씩 하던 테스트는 일주일에 한 번씩으로, 얼마 지나지 않아서는 하루에 몇 번씩 몇 시간마다 테스트 페이지를 만들어냈다. 그들은 값싼 실험의 꾸준한 반복으로도 유용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음을 알게된다.

넷플릭스의 창업자들처럼 효과적이고 유용한 테스트 설계를 위한 원측 5가지가 있다.

1. 간단하게 설계하라
2. 가설을 세워라
3. 데이터를 수집하라
4. 순환고리를 완성하라
5. 수정하고, 반복하고, 필요한면 방향을 바꿔라

‘아이디어플로(ideaflow)’란 ‘주어진 시간 동안 주어진 문제에 대해 개인이나 집단이 생성할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의 수’를 말한다. 세계 시장을 지배하는 조직들은 항상 높은 아이디어플로를 유지한다. 아이디어 물량공세가 더 많을수록 더 창의적인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아이디어를 쏟아냄으러써 그 안에서 훌륭한 아이디어의 비율을 높일 수 있다. 아이디어 물량공세는 훌륭한 아이디어가 세상에 나오지 못하고 누군가의 입 안에 갖혀있는 것을 막기 위한 아주 효과적인 방법이다.

18p
아이디어란 ‘아이디어를 내야지’라고 생각한다고 해서 떠오르지 않는다. 아이디어를 떠올리려면 문제를 명확히 파악하고, 뇌가 작업할 수 있는 재료를 충분히 수집해야 한다. 우리 자신을 하나의 ‘물길’이라 생각하고, 최대한 많은 아이디어가 지나갈 수 있게 한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또 하나 흔한 오해를 바로잡자면, 획기적 결과물을 내려면 이이디어 목록에서 ‘정답’을 골라내야 하는 게 아니다. 오히려 현장 실험을 반복하면서 아이디어 목록을 추려나가면 뚜렷한 승자가 절로 모습을 드러낸다고 표현하는 편이 적절하다. 이게 전부다. 이게 ‘모든’ 일의 성공 공식이다.

20p
여러분 스스로를 창의적인 사람으로 태어났다고 생각하느냐 아니냐는 중요하지 않다. 사실 우리는 그런 사람이 있다고 생각하지도 않는다. 그저 일련의 강력한 창의적 ‘기술’을 익힌 사람과 아직 익히지 못한 사람이 있을 뿐이다. 창의성이란 몇몇 사람에게만 허락된 재능이 아니다. 창의성이란 ‘배우는’ 것이다. 아직 못 배웠다면 시간과 노력, 지식의 문제일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