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사학사 -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 역사학은 끝났는가?
게오르그 이거스 지음, 임상우.김기봉 옮김 / 푸른역사 / 1999년 9월
평점 :
품절


학과 교수님께서 이 책의 공동 번역자 중 한 분이시기 때문에, 학부 시절부터 많이 뒤적댔던 책.

하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정독을 한 기억은 없어서, 이번 기회에 다 읽게 되었다.

 

말 그대로 20세기 사학사인데, 역자의 말대로 간단히 정리하면 이렇다.

사회과학의 위협으로 인한 역사학의 위기 - 역사학의 사회과학화를 통한 역사학의 승리 -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과 역사학의 종말.

 

여튼, 나도 요즘(?) 사람이라 최근의 담론들에 더 끌린다. 물론 포스트모더니즘 같은 것들은 짜증이 날 뿐이고.

 

그러나 만약 알려지지 않은 사람을 망각으로부터 구출해 내고자 한다면, 역사는 더 이상 단일한 과정으로, 즉 수많은 개인들이 묻혀 버리는 거대 담론으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개별적 중심을 지닌 다면적 흐름으로 바라보는 새로운 개념적, 방법론적 역사 접근 방식이 요구된다. 이제 역사가 아니라 역사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이야기들이 문제가 된다.

 

역사학이 추구해야할 '진실' 혹은 '진리'에 대한 강한 믿음이 있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역사학이 문학으로 대체되어야 한다거나, 역사가 학문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하는 것은 회의주의에 빠질 뿐이다.

때문에 나는 다음의 서술에 100% 공감하는 편이다.

 

확실히 모든 역사적 설명은 하나의 구성물이지만, 이는 역사가와 과거 사이의 대화를 통해 나오는 구성물이다. 요컨대 역사적 설명은 진공 속에서가 아니라 개연성의 기준을 공유하는 탐구 정신의 공동체 내에서 등장하는 것이다.

 

전공자들이 최근 역사학에 대한 흐름을 정리하기 위해서 적격인 책이다. 수업시간에 활용하기도 좋고.

언제나 그렇듯이 이런 책을 쓰는 사람에 대한 비판은, 문학비평가에 대한 그것과 비슷하다.

그렇다면 니가 함 써보지. 맨날 남의 이야기만 긁어모아서 독창적인 이야기는 없고.. 하는 따위의.

그 말도 맞는 말이지만, 중요한 건 잘 정리가 된 것을 내가 잘 소화시키면 되는 것이다.

남이 어쩌던간에, 문제는 내가 어떠한 결과물을 내놓느냐 하는 것. 그것이 항상 문제.

 

이제야 슬슬 논문 준비할 마음이 생기기 시작하는데-_-... 이 책을 정독한 것이 어느 정도 도움이 된 것 같다.

 

문제를 외면하지 말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