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여 나가는 날 미래그림책 145
선자은 지음, 최현묵 그림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여 나가는 날

 

선자은 글 / 최현묵 그림 / 미래아이

 

 

 

언젠가는 누구나 모두 겪게 되는 일이지만

결코 원하지 않는 슬픈 이별...

그래서 이책의 서평 이벤트 때 선뜻 손이 들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전통상례를 유쾌하게 이야기 하고 있다는 설명에

이 책을 접하게 되었다.

역시나 좋은 책이였고 전통상례에 대한 지식도 더불어 얻게되는

좋은 기회였다.

 

 

 

 

 

표지를 보니 아주 화려하게 치장이 된

꽃상여를 산세가 아주 수려한 곳에서

행렬이 지나가고 있다.

이러한 꽃상여를 실제로 본 적이 없기에

전통 상례를 접해 본적이 없기에

궁금증이 생겼다.

 

 

 

이 책의 저자인 선자은님은 그림책부터 청소년 소설까지

재미있는 상상이 떠오르면 글로 써서 책을 내신다.

"단골손님"  "달이네 추석맞이"  "꼬마 해녀와 물할망" 등의 그림책과

"예쁜 얼굴 팝니다"  "위험한 친구 마니또"  등의 동화책

"빨간 지붕의 나나"   "펜더가 우는 밤"  등의 청소년 소설이 있다.

 

 

옛날 어느 마을에 박첨지가 살았다.

박첨지는 다른사람 괴롭히고 가족들도 괴롭히는 심술궃은 사람이여서

사람들은 박첨지의 오른쪽에는 심술보가

왼쪽에는 욕심보가 붙어 있다고 했다.

 

 

 

어느날 박첨지는 병에 걸렸고 시름시름 앓다가 죽게 되었다.

영면 등이 더 익숙하게 느껴지는 단어이지만

이 책에서는 임종 운명이라 칭한다.

 

 

 

박첨지는 몸이 가뿐해짐을 느꼈지만

밖에서 세사람이 박첨지를 불렀다.

그들은 누구일까?

 

 

바로 저!승!사!자!

저승사자가 죽은 자의 혼을 데리러 온것이다.

 

 

 

 

이 책에서는 책의 한켠에

전통상례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용어해설이

친절하게 되어 있다.

어른인 나도 솔직히 처음 듣는 용어가 있음에 신기했다.

 

죽은 사람과 같은 성별인 사람이 지붕이나 마당에서

혼을 돌아오게 하려고 옷을 흔들며 죽은 자를 힘껏 부르는 것을

"초혼" 이라고 한다.

 

 

 

박첨지는 노잣돈과 반함을 가지고

저승사자를 따라갈 준비를 한다.

 

 

 

빈 상여놀이를 하며 상여꾼들이 상여를 점검하고 상엿소리 호흡을

맞춰 보기 위해 판을 벌리고 남은 가족은 큰 슬픔에 빠지지 않게 해준다.

 

 

다음날 아침

박첨지는 상여 앞에 있는 작은 가마에 타고

상여꾼들과 함께

그리고 박첨지네 하인이였던 삼돌이가 귀신이 되어 나타나

함께 움직이게 된다.

 

 

 

 

간다 간다 나는 간다.

친구나 보고 떠나간다.

 

상여꾼들의 노래가 울려 퍼지고

아무리 둘러봐도 살면서 얻은 친구가 한 명도 없구나

 

 

이제 가면 언제 오나

다시 올 날 있으려나

가족들아 이웃들아

잘 있어라 잘 살아라

 

 

박첨지는 사랑하는 아내, 보고싶은 아들을 두고

눈물을 흘리면서 상엿소리를 뒤로 하고

저승사자들을 따라갔다.

 

 

 

이책에서는 우리의 전통상례에 대한 순서나 용어 등이

박첨지와 함께 유쾌하게 설명이 되어 있어

알기쉽고 편안하게 접할 수 있는 책이다

무섭고 나에게 생기기를 원하지 않는 마음에

쉽게 접하게 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이책은 읽을 수 있다.

 

이책의 마지막에는 전통상례의 순서에 대해서 설명해주고 있다.

이 또한 도움이 되는 이야기이다.

 

 

이 책을 읽고 나니

나 고등학생때 돌아가신 외할머니 생각이 아주 많이 났다.

우리 할머니도 이렇게 저승사자가 와서 함께 가셨을까...

가시면서 박첨지처럼 가족걱정 이웃걱정 하시면서

가셨겟지....

보고싶다 우리 할머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