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X의 비밀 - 인류 최후의 개척지와 일론 머스크의 마스터플랜
브래드 버건 지음, 김민경 옮김 / 미디어숲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지금도 종말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고 생각해요. 


옛날부터 별 보는 걸 막연히 좋아했던 저, 제 아들은 우주에 관심을 가지는 아이로 자라나게 되었습니다. 


둘째 아이는 그냥 시큰둥한 반응이지만 큰 아이는 우주, 로봇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요. 


저는 제가 이과형 사람이 아니었던지라 꿈꾸는 것으로만 만족했지만 이과형 두뇌를 타고난 큰애에게는 자그마한 기회가 될 수도 있는 것 같아 함께 꿈꾸며 미래를 그리고 있답니다. 


스페이스X 는 2002년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미국의 우주탐사 민간기업이랍니다. 


저는 당연히 항공우주산업은 국가에서만 진행될거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어요.


큰 돈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국가 안보문제도 걸린다고 생각했는데..^^;; 민간기업에서도 도전을 할 수 있었다는 것에 대해 신기하다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위인전을 보면 대부분의 위인들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빛을 발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요. 


일론 머스크 또한 유년기가 편안하지는 않았지요. 그런 환경 속에서도 자신의 앞길을 헤처나가는 방법을 알고 행한다는 것은 정말 대단한 것 같아요. 


만약 저였다면 그냥 현실에 안주하거나 포기했을 것 같거든요. 



전 일론 머스크라는 사람을 테슬라라는 자동차 회사의 CEO라는 걸로 알게 되었고, 그 사람이 어마어마한 영향력을 끼치는 사람이라는 것 또한 멍멍코인 사태로 또 알게 되었지요. 그 후 우주와 관련된 책들을 읽다보면 일론 머스크라는 사람이 대부분 등장하게 되면서 민간우주기업 스페이스X도 알게 되었답니다. 


우주로 나가는 것은 소련과 미국 두 나라의 이야기라고만 생각했어요. 우리나라는 그만한 자금이나 연구개발을 할 능력이 되기에는 멀었다고 생각했지요. 하지만 우리나라 또한 개발을 하게 되면서 우주로 가는 길이 짧아지기 시작했고, 우리의 기술력으로 나로호를 발사하게 되면서 우주를 꿈꿨던 어른들 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의 가슴에도 불을 지피게 된 것 같아요. 



달에 가봤던 인류는 이제 더 멀리 나아가고자 합니다. 바로 '화성'이죠. 지구보다 조금 더 멀리 있으며 지구가 무슨 일이 생기면 떠날 수 있을 것만 같은 곳 '화성'. 화성에는 얼어붙은 바다가 있으며 인류가 살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있기 때문에 그곳을 목표로 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우주발사체는 재사용이 힘들다고 했는데 스페이스X는 세계 최초로 궤도 로켓을 100번이상 재사용하는데에 성공하기도 했을 뿐더러 수만은 '최초'타이틀을 거머쥐고 있는데요. 


스타링크라고 하는 위성을 쏘아 전 세계에서 인터넷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도와준다고 하는데, 장단점 또한 있는 것 같아요. 


우크라이나 전쟁 시기에 스타링크를 통해 통신을 가능하게 했던 것처럼 도움이 될 수는 있지만 하늘에 별처럼 떠있는 위성들을 본다면 다른 방법은 없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또한 위성의 사용기간이 정해져 있을 텐데, 회수되지 못한 위성들은 우주쓰레기가 된다는 것 또한 문제점이기도 하지요. 


책을 읽으면서 그냥 막연하게 대단하다~ 하던 것에서 벗어나 인류가 더 나아가는 시작이 지금이겠구나 하는 생각으로 바뀌는 시간이었습니다. 비록 알고 있는 정보가 적어 책을 읽으면서 이해되는 부분은 절반에 그쳤지만 읽으면서 미래에는 일론머스크 보다 더 먼 미래를 꿈꾸고 계획하는 아이들이 자라 그가 펼쳐놓은 길을 고속도로로 펼쳐 나가지 않을까요?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