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씨 바로쓰기 속담편 저학년 1 - 개정2판 글씨 바로쓰기 경필 시리즈
컨텐츠연구소 수(秀) 기획 / 스쿨존에듀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는 글씨가 그리 예쁘지 않아요. 바르게 쓰는 방법을 놓치고 편한대로 쓰다보니 연필을 쥐는 것도 조금 특이하지요. 


그러다 보니 바른 글씨가 잘 되지 않고 예쁘지 않아서 늘 고민이 되기도 했지만, 


아들들은 꼭!!! 바른 글씨가 습관으로 잡혀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글씨 교정을 꼭 시키곤 했는데요. 


첫째는 약간 글렀는데 .. ㅠㅠ 둘째는 바른 글쓰기 교재를 활용해서 글씨 쓰기의 시작을 바르게 시작하고자 글씨 바로쓰기 속담편을 시작하게 되었답니다. 


첫째는 교과서 따라쓰기를 했었는데요. 마음이 급하다 보니 빨리 쓸 때에는 날라가는 글씨가 되어서 사실 다시 시켜야 하나 고민중이에요 :)


악필에 대한 기사를 어디에서 본 것 같아요. 중고등학교에서 시험을 치고 나서 선생님들끼리 서술형 문제같은 경우 모여서 단어를 해석?하는 시간이 있다구요. 


아이들의 글씨를 알아보기 힘들다 보니 담임 선생님 또는 그 아이의 글씨를 아는 선생님의 도움을 받아 답안을 해석하기까지 하면서 바른글씨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 것 같아요. 


사실, 숙제나 글쓰기가 있지 않고서야 왠만하면 문자나 톡을 보내고, 저 또한 이렇게 후기를 컴퓨터로 쓰기 때문에 손글씨를 쓰는 시간은 적어요. 그렇다 보니 자연스럽게 쓰기 활동이 줄어들고, 이런 연습이 없다보니 더 악필로 이어져 나가는 것 같더라구요. 


초등 1학년이 된 둘째가 활용하고 있는 바른글씨를 위한 속담편입니다. 속담도 많이 알면 문해력에 도움이 되지요. 


논술 시험, 학교 시험은 자필로 쳐야 하기 때문에 바른 글씨일수록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아요.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는 말처럼 지렁이같은 글씨는 아무래도 좋은 인상을 받기 쉽지 않지요. 


지금은 따라쓰는 걸로 급급해서 급하게 쓰고 있길래 다 쓰고 나서 천천히 읽어보고 어떤 뜻인지 알려주고 있어요. 


초등 4학년이 된 큰 아이도 아는 속담, 모르는 속담 등 다양하기 때문에 아이와 함께 이야기 하는 시간을 가져서 좋더라구요. 


작은 아이와 큰 아이에게 궁서체로 쓸 수는 없지만 적어도 네모 칸 안에는 들어가게 쓰자고 했어요. 줄이 있을 때에는 받침이 줄을 넘어가지 않도록 글쓰기. 그정도만 해도 그래도 못봐줄 정도는 아니거든요. 


한참 쓰다가 쉬어가는 코너도 있답니다. 속담과 관련된 이야기이기 때문에 해당 대화에서 들어갈 수 있는 속담을 찾아 이야기를 완성하는건데 재미있더라구요 ㅎㅎ 


고학년편으로 큰 아이도 다시 속담도 배우고 바른 글씨도 익히는 시간, 스스로 집중하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