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무튼, 디지몬 - 길고도 매우 짧은 여름방학이 시작되었다 ㅣ 아무튼 시리즈 67
천선란 지음 / 위고 / 2024년 6월
평점 :
나의 유년기는 암울했다. 폭력과 불화가 있었다. 나는 유년기라는 시절을 낭만적으로만 보려는 시도에 동의하기 힘든데, 그래서 이 책은 제법 내 이야기로 느껴졌다. 내가 초등학교를 다닐 때 모뎀을 넘어 ADSL과 메가패스(메가스터디 패스권 아님)라는 이름으로 인터넷이 보급되었고 디지털 세계는 안식처가 되었다. 거리에 생겨난 PC방과 크레이지 아케이드는 2000년대에 초등학교를 다닌 어린이들의 놀이 문화였다. 졸라맨과 마시마로를 포함한 각종 플래쉬 자료 그리고 안톤 오노에 대한 적대적인 게시물이 넘쳐나는 온라인 세계가 있었다. 이 즈음에 세기말 분위기에 나타난 디지몬 어드벤쳐는 디지털 세상 속 이야기다.
포켓몬(스터)과(와) 기묘하게 다른 디지몬을 나도 열심히 봤다. 아구몬 진화를 성대모사하기도, 에테몬 닮은 친구를 놀리기도, 디지몬 온라인 게임을 했었다. 천선란은 현실을 도피해 디지몬이 사는 디지털 세계로 가고 싶던 어린 시절을 떠올린다. 왜 그토록 디지몬을 욕망했는지 그리고 지금은 욕망하지 않으려 하는지 책에 썼다. 나는 《천 개의 파랑》을 읽으며 휠체어 이용자, 엄마를 이름으로 부르기(보경), 여러 여성, 퇴역 직전 경주마, 로봇 기수라는 소수자성 있는 인물들의 화학 작용을 왜 생각해냈는지 궁금했는데 이 책으로 조금은 가늠할 수 있게 되었다.
나는 디지털 세상이 더욱 확장된 요즘 디지털 세계로 '피한다'거나 '숨는다'는 일이 아득하게 들린다. 디지털과 아날로그는 구분이 어렵기 때문이다. 병원도 앱으로 대기하는 시대가 되었다. 선택받은 어린이들의 모험에서 선택받지 못한 어린이들은 어떤 상상을 할 수 있을까? 디지털화되었다는 세상에서 내몰리고 자신을 내모는 어린이들은 무엇을 하고 있을까? 나는 유년기를 건너와 이제는 디지몬을 애도할 수 있는 작가와 애도할 디지몬을 찾는 어린이들을 겹쳐 생각했다. 떠나보낼 수 없을 만큼 밀접한 디지털화된 세상에서 감당할 수 있을 만큼의 슬픔만 배분 받고 있을까? 이 책은 내 고민과 아무 관련이 없는 '건너온 사람' 이야기지만 그 안에서 손 내밀었어야 하는 사람들과 손 내밀지 못 했던 사람들의 모습도 조금은 상상해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