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p Temporalities (Paperback)
Ellen Samuels / Duke University Press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단 이 책은 듀크대학교 출판부에서 내는 SAQ(The South Atlantic Quarterly)에서 크립 시간성을 다룬 판이다. 예상과는 다르게 Eli Clare는 시를 썼고 Leah Lakshmi Piepzna-Samarasinha는 타로 카드에 대해 썼다. 물론 Leah는 자신이 쓴 《Care Work》라는 책에서 타로 카드와 같은 다소 영적인 활동과 다양한 소수자성을 장애와 함께 갖고 있는 사람들의 대안적인 영성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는 하지만, 시론이나 장애 정의(Disability Justice) 관련 아티클을 기대했지만 그런 건 아니었다. (물론 시나 타로 이야기가 의미 없다는 것이 당연히 아니다. 그리고 두 사람 다 Sins Invalid라는 집단에서 활동했던 것으로 보면 아티클만이 어떤 대안적인 지식을 주다는 생각도 어쩌면 위계적 생각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어쨌든 이 책은 제호대로 전반부는 Crip Temporalities(크립 시간성이라고 편의대로 부르겠다)에 대한 아티클이 있고 후반부에는 2019년 레바논 반정부 시위 관련 아티클이 있지만, 이 부분은 읽지 않았다.


 크립 시간성은 크립으로 사는 사람들이 겪는 시간성. 시간 규범성. 도시와 자본주의의 시간에 어울리지 않는 크립들의 경험에서 나온 시간성을 의미한다. 비장애인의 보행과 전동 휠체어를 탄 사람, 흰지팡이(Cane)를 이용하는 시각장애인의 시간은 외관상 같을지라도, 경험적으로 차이가 있다.


 단순히 점점 빨라지는 자본주의의 속도에 '느림'의 미학을 더하자는 이야기가 아니다(일부 크립은 느리거나 매우 느린 삶의 속도를 갖지만-비장애인에 비한다면- 일부 정신장애인들에겐 매우 빠른 급격하게 빨라지는 속도에서 살기도 한다). 맞벌이 가정 내에서도 시간의 격차가 있다. 자녀를 돌볼 뿐 아니라, 돌볼 준비를 하고 있는, 이를테면 돌봄 대기조의 시간은 다른 사람과 다른 시간 감각을 갖는다. 크립들은 각종 편의 시설에 대한 요구를 해야 하고, 설명해야 하고, 증명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또한 '정상적인' 일을 하지 못할 수도 있다. 때로는 에피소드가 너무 심해져서, 혹은 정말로 피곤해서. 만성질환자의 피곤, 자가면역질환자의 급성기 등 다양한 이유로 '일상적인'일을 지속적으로 하기 어려운 사람들이 있다. 출근이란 무엇일까? 시간표와 일과시간과 같은 시간의 레짐안에서 흘러가는 일상생활을 늘 유지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시간성이란 무엇일까? 이 책에는 이런 시간 규범성과 여러 이유로 종신 교수직도 포기한 크립의 사례도 나온다. 


 예측 가능한 생산성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존재들에 대한 이야기도 한다. 단순히 이야기할 뿐 아니라 이런 담론의 정치성을 이야기한다. 바디 프로필, 헬스나 자신의 건강을 챙기는 일종의 자기 돌봄 행위도 정치적일 수 있다는 이야기다. 상호 도움 없는 사회, 흔히 말하는 "나만 아니면 돼"라는 경쟁 사회에서 개인의 자기 돌봄은 경제적 몰락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을 무의식적으로 정복하려 몸을 훈육하려는 '유순한 몸'에 대한 욕망은 아닐까? <Reclaim the Radical Politics of Self-Care>라는 장에서는 개인적인 고려 대상으로 치부하며 탈정치화된 돌봄이라는 의제를 정치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재생산 노동을 했던 흑인 여성들을 언급하지만 이는 단순히 과거 이야기가 아니다. 속속 폐지하고는 있지만, 중동의 일부 국가들은 외국인 가사 노동자(Domestic woker)에 대한 제도인 '카팔라 제도(kafala system)'가 있다. 한국의 고용허가제와 유사한 느낌으로 가사 노동자의 처우와 임금에 대한 권리가 고용주에 있다는 것이다. 레바논의 경우 집을 지을때 가사 노동자의 쪽방도 설계도에 그리기도 한다고 한다(Roser Corella 감독의 다큐멘터리 Room without Window는 레바논에 온 외국인 가사 노동자들을 조명한다. 공간 역시 당연히 권력에서 자유롭지 않다.) 누가 시간을 들여 돌봄을 했는지, 하고 있는지, 하게 될 것인지 그리고 자기 돌봄에 대한 이야기가 이미 정치적인 이야기이고 핵심적인 이야기임은 당연하다. (돌봄과 장애를 둘러싼 돌봄 이슈에 대한 복잡한 이야기는 Leah Lakshmi Piepzna-Samarasinha 《Care Work》참조)


 돌봄 자체가 일부 장애인과 뗄 수 없는 주제이기 때문에(사실 모든 인간이 그렇지만), 돌봄에 대한 이야기도 하지만, 자폐증이 있는 트랜스/논바이너리의 시간성 대한 아티클도 있다. 트랜지션 후에 자폐증 혹은 증상이 심해진다면 이를 어떻게 생각할 수 있을까? 트랜스의 chrononormative(연대기적 시간 규범적인? 연대기규범적인?)는 주로 디스포리아를 겪고 자신의 젠더 정체성과 알맞고 가능한 외적 표현을 수행한다는 내러티브인데. 트랜스여성이지만 자폐증이나 다른 질병/장애로 인해 치마가 무릎에 닿는 것을 견디지 못하는 사람이라면 어떤가?(물론 트랜스여성이라고 모두 페미닌한 복장을 선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트랜스 시간성 혹은 시간 규범성과는 다른 감각을 갖는 크립의 이야기를 통해, 하고 싶은 것과 할 수 있는 것의 차이를 드러낸다. (<Autistic Disruptions, Trnas Temporalities>, Jake Pyne)


 자스비르 푸아르와 앨리슨 케이퍼의 글이 대미를 장식하는데, 자스비르 푸아르의 아티클은 여러 번 읽어봐야 할 정도로 복잡한 생각거리를 제공한다. 푸아르의 아티클의 제목은 <Spatial Debilities:Slow Life and Carceral Capitalism in Palestine>인데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공간적 쇠약과 느린 속도의 삶, 그리고 감옥(같은) 자본주의에 대해 논한다. 아마도, 푸아르가 최근 작업 중이라는 《Slow life: Settler Colonialism in Five Parts》와도 이어질 수 있는 주제라고 생각한다. 죽이는 것이 아니라 불구로 만드는(maiming) 폭력의 의도성을 추적한다. 이스라엘은 의도적인 공격으로 죽게 두지 않는/죽게 만들지 않는 생명적치적 통치술을 발휘한다. 그뿐만 아니라, 세계 언론이나 외부에서, 시위대와 이들에 대한 테러 공격 그리고 불구의 스펙타클에 주목하는 것에 비해 푸아르는 비가시화된 일상적인 느림을 조명하는데, 후유증으로 죽어가는, 호모 사케르가 떠오르는 버림뿐 아니라, 검문소에서의 긴 대기, 대중교통의 교란, 이동성의 손상, 예측불가능한 기다림에서 갖게되는 정신적, 신체적 혼란을 주목한다. 끊임없는 불확실성의 상태, 그것의 식민주의적 조절은 일종의 '시간성의 무기화'라고 할 수 있다. 찬드라 모한티나 호미 바바가 피식민지역의 시간성을 과거로 설정하는 방식의 식민화를 이야기했다면, 푸아르는 느림과 자본주의 그리고 생명정치를 엮어서 설명한다. 


 앨리슨 케이퍼는 다소 개인적인 단문들을 붙여놓은 글을 썼는데 빠름과 느림, 이전과 이후에 대해 이야기한다. 과연 장애 이전의 삶과 장애 이후의 삶이라는 그런 안정적인 이야기가 가능할까? 장애는 단지 '일어나는' 것인가? 앨리슨 케이퍼는 과거에서 향수를 찾고, 이후의 시간은 상실과 후회의 시간이라는 추정뿐 아니라 장애가 명확하게 전과 후로 나눌 수 있는 사건이라는 추정에도 도전한다. 또한, 장애인은 무구하다(innocent)는 모델은 거절하면서 불의를 어떻게 이야기할 수 있을지 답이 명확하지 않은 고민을 이야기한다. 


 이 책은 2021년에 나왔지만 대부분 코로나 이전 혹은 가까운 시기에 쓰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하지만 이 책이 나올 때는 분명히 코로나가 팬데믹임이 분명해진 이후이다. 이전과는 완연히 다른 시간성에 살고 있는 지금, 크립 시간성에 대한 글들은 현재의 시간을 사유하는데 자원이 될 뿐 아니라, 코로나 이후에야 크립이 아니라고 생각했던 사람들도 속속 크립 시간성과 유사한 어떤 시간에서 살고 있다는 것을 자각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장애 정의를 위해서 혹은 당사자들이 더 살만한 삶을 살기 위해서 어떤 노력과 인식이 필요한지에 대해 이 책은 많은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저는 알라딘으로 사서 한 달 넘게 걸려서 받았지만, 듀크대 출판부 온라인 사이트로 가면 일부 아티클을 구매해서 PDF로 볼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