뜻밖의 과학사
팀 제임스 지음, 김주희 옮김 / 한빛비즈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앉은 자리에서 끝까지 다 읽어버린 ‘뜻밖의 과학사’




과학 이야기를 이렇게 쉽게 풀어낼 수 있는 것도 신기했고, 또 내용(소재)이 실수 혹은 우연(필연)에 의한 과학적 사실들이라 감탄 아닌 감탄을 하면서 읽었다. 




이미 많이 알려진 사례인  페니실린의 발견, 아르키메데스의 ‘유레카’, 코카콜라의 시작, 뉴턴의 사과(만유인력의 법칙) 등 한 번 쯤은 들어봤을 만한 우연들도 역사적 맥락과 함께 다시 알게 되어 재밌었고, 화약의 발명이나 변기 세정제나 재봉틀의 발명 등은 한 번도 제대로 그 시작을 알아 본 적이 없었기에 놀라웠다. 




기억에 남는 사례 중 하나는 ‘찰스 굿이어’라는 사람이 발명한 가황 고무. 이름을 통해 알 수 있다시피 ‘굿이어’는 자동차 바퀴를 만드는 회사의 이름이기도 하지만 (굿이어 본인이 만든 회사는 아니다) 가황 타이어를 만든 굿이어 본인은 그의 발명으로 인한 금전적 이익을 거의 얻지 못한 상황에서 죽음을 맞이했다는 것이 다소 슬프게 느껴지기도 했다. 




뜬금없지만 초등학교를 졸업하기 전까지 나의 꿈은 과학자였다. 


지금의 어린이들은 꿈으로  ‘유튜버’나 ‘인플루언서’를 꿈꾼다지만, 나때만 해도 과학자도 있었고, 대통령도 있었는데 나는 과학자파(?)였다. 실제로 몇몇 가지 발명을 하기도 했고, 성인이 된 이후 발명창업대회에서 상을 받기도 하였으니, 나름의 과학자 꿈은 이룬 것일까. (정치학을 전공한 이후, 정치학은 ‘사회과학’에 포함되어 있으니 나도 과학자라고 우기고 다니고 있긴 하다ㅋ). 




내가 상을 받았던 아이템 중 하나는 각도에 따라 바퀴의 속도가 조절되는 장치였다. 어디서 착안한 아이디어였냐면, 롤러 스케이트나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고 경사가 급한 곳을 내려갈 때는 위험할 수 있으니 스케이트나 바퀴에 달린 평형 인식 기계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아래로 향하게 되면 바퀴에 제동을 걸어 속도를 멈추게 하거나 속도를 늦출 수 있게 하면 스케이트를 신은 채로 경사가 급한 곳을 내려와도 안전하지 않을까 했던 발상이었다. 아직까지 그 누구도 발명하지는 않은 듯한데ㅋ 이렇게 적어도 되는건지 모르겠지만, 누구든 만들어서 안전하게 인라인 스케이트를 탈 수 있다면 그걸로 된 것 아닌가 싶기도 ㅎㅎ (내가 이 발명을 한 게 2004년 즈음에는 평형을 인식하는 장치가 매우 고가였지만, 지금은 스마트폰에도 들어갈 정도로 대중화된 장비가 되었다.) 




과학에 재미를 느끼는 사람이 읽으면, 정말 나처럼 하루만에 읽을 수 있을 책이다. 




단점 중 하나는 너무 많은 사람들의 이름이 나와서 일일이 하나하나 외우면서 읽을 수 없다는 단점이 ㅎㅎ 또 다른 이 책의 단점 하나는 ‘과학에 재미를 못느끼는’ 사람이라면 중반 이후를 넘어서는 살짝 ‘어렵다’고 느낄 만한 내용들이 서술된다는 점이다. 




과학에 대한 상식을 넓히고, 세상을 바꾼 우연 혹은 필연들에 관심이 많은 사람, 과학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읽으면 ‘완전 짱이잖아!’하면서 읽을 책! 


책은 한빛비즈로부터 받았고, 금전적 이익은 받지 않았습니다. 


#뜻밖의과학사 #팀제임스 #김주희 #한빛비즈 #책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 #책추천 #책읽기 #굿이어 #코카콜라 #유레카 #과학 #과학사 #아르키메데스 #아인슈타인 #상대성이론 #고무 #방탄유리 #유리 #페니실린 #영화 #슬로우모션 #곰팡이 #살균제 #찻잎 #비단 #위궤양 #뉴턴 #만유인력의법칙 #사과 #중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