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년 전 중국의 일상을 거닐다
카키누마 요헤이 지음, 이원천 옮김 / 사계절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잘못은 너무 예쁘게 만들어진 표지에 있다. ‘중국 고대 일상사’와 관련한 내용을 적으며 이렇게 예쁜 색깔의 배합과 건물의 모습이라니, 한껏 기대에 차서 읽기 시작한 책. 




결론적으로 말하면, 기대와는 달랐다. 실망에 가까웠다는 느낌.  




분명 중국 진한 시대를 중심으로 일상사가 잔뜩 담긴 했지만, 제한된 사료(史料)에 근거해 있고 그 사료들 중 민중들의 삶에 투영될 수 있는 것들이 다수 담기긴 했지만 좀 어려웠다. 




가벼운 에세이식 서술을 기대했지만, 말 그대로 역사 책이었다. 




그럼에도 이 책이 주는 재미는 확실했다. 그 재미란 ‘옛날 사람이나 지금 사람이나 사람사는 건 다 똑같구나’ 하는 재미였다. 물론 지금의 시대와 비교했을 때, 신분제의 유무를 포함해 기술 발달 수준 등의 것들은 하늘과 땅 차이니 다른 점도 분명 많겠으나 ‘삶을 살아가는 존재로서의 사람’ 이라는 기준에서는 피식, 하고 웃음도 나올 정도였다. 




예를 들면 이런 이야기들. 


입 냄새가 심하게 나 그것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 

일반적으로 식사는 아침 식사와 저녁 식사만 대부분의 민중들은 했다는 것.(슬픈 일인가..) 

도시 사람의 걸음걸이를 따라하다가 예전 걸음걸이를 잊은 젊은이의 이야기. 

남녀 간 말 걸고 작업(?) 거는게 일상적이었고, 심지어 공자도 제자한테 시켜서 여성에게 말 걸었다가 까였다..

치질 치료법으로 사람이 항문을 핥아주는 방식이 있었다..

동성애에 대해서 거부감이 없었다(심지어 현대의 그것들과 비교했을 때 크게 차이가 없는 물품(?)들도 있다) 등등.,




중국 진한 시대의 일상을 지금의 시점에서 읽으면 무슨 재미가 있겠냐 싶겠지만, 분명하게 말할 수 있는 건 ‘변한 것과 변하지 않은 것’에 대한 비교와 동시에 ‘나아진 것과 나아지지 않은 것’에 대한 생각할 거리를 준다는 것을 빼놓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신분제가 사라지고, 과학기술은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발전했지만 정말 지금의 시대는 예전보다 나아졌다고’만’ 말할 수 있는가. 단 하나의 예를 들면, ‘사람 사이의 사랑’이라는 인식으로 받아들여졌던 동성애에 대해서, 지금은 이것을 사랑으로 받아들이는지 아닌지 등.. 이런 문제 의식을 갖고 읽으면 더 재밌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역사 좋아하고, 거시사보다는 미시사나 일상사(생활사) 좋아하시는 분이 읽으면 더 재밌게 읽을 것 같다. 재미 없는 책은 아닌데, 읽다보면 묘하게 답답한 부분들이 있다. 후반부로 갈수록 재밌는 책이었다. 




책은 사계절출판사로부터 받아서 읽었고, 금전적인 이익은 받지 않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