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나를 돌봅니다 (반양장) - 십 대를 위한 자기 자비 연습
박진영 지음 / 우리학교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9. 10. 01.


이 책은 십대를 위한 책 답게 큰 활자, 159페이지의 얇은 두께, "~이었어요. ~답니다.~일거예요"라며 문장을 끝내고 있다. 하지만 삼십대인 내가 읽어도 무방한 내용 이었다. 십대부터, 아니 그보다 어린 내가 그대로 삼십대가 되었기 때문이다.

intro. 내가 나의 가장 좋은 친구가 될 수는 없을까요?

part 1.평가하지 말고 이해해 줘요

part 2.고민해도 괜찮아요

part 3.뭐든지 잘할 수는 없어요

part 4.나를 돌보며 나아가는 법

나가며. 오늘부터 자기 자비


"자존감"을 내세운 책들이 주를 이루던 때가 있었다. 나 또한 그런 책들을 읽으며 구구절절 다 맞다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이 책에서 자존감 보단 자신을 따뜻하게 받아들이 것(=자기자비)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이 책에 소개된, 지금의 내모습을 찾아볼 수 있었다.

감정을 이해하지 못하는 나.

부정적 감정을 그대로 받아들이며 이해하기. 그렇다고 과장하거나 축소하지 않기. 특히 과장할때 '내가'나를 괴롭히는 "곱씹기"하지말기. 그리고 응원과 축복을 말하기.

소심한 나.

소심은 눈치를보고, 거절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생긴다.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한 눈치볼 필요가 없고 거절은 거절 연습을 통해 극복한다.

사회성 없는 나.

사회공포증&비사회성. 나는 사회성이 없는게 아니고 사회공포증이 있다. 극복방법.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완벽을 추구하는 나.

포기할 용기. 자신을 존중하고 자신감 있는 사람이 되자.


그리고 불안한 나

  마지막으로 책에 나왔던 내용들을 정리하며 "자기자비"에 대해 말한다.

자기자비보편적 인간성에 대한 깨달음, 자기친절, 마음챙김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포기"하는 건 무조건 좋지 않고 죽을힘을 써서 버터야한다는 고정관념이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정말 나를 위한 선택을 한다면, 일찌감치 버렸어야 하는 일들이 분명히 있지 않나요? - P112

불안은 본래 어떻게 될지 알수 없다는 불확실성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무작정 좋게 생각하기보다 ‘나는 준비되었으며, 고로 결과는 불확실하지 않다‘는 느낌을 받으면 불안이 감소된다. - P138

프로선수들의 혼잣말 "괜찮아. 잘될 거야. 결과가 어떻든 네가 너의 방식으로 노력해 왔다는 것을 나는 알아"같은 것들. - P14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