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색 코뿔소가 온다 - 보이지 않는 위기를 포착하는 힘
미셸 부커 지음, 이주만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16년 9월
평점 :
절판


개연성이 높고 거대한 충격을 일으키지만 
사람들이 간과하거나 무시하는 위기를 뜻한다.

저자는 더불어 2가지 동물을 더 언급하여 개념을 구분한다.
발생가능성이 희막하고 예측 불가능한 사건을 의미하는 '블랙 스완'
누구나 알면서도 이를 언급하면 모두가 불편해하기 때문에 
쉬쉬하는 사건을 의미하는 '방안의 코끼리'
하지만 '회색 코뿔소는'일련의 경고 신호와 증거가 먼저 등장하는 특징을 지녔다. 

사건사고가 많은 요즘. 항상 따라오는 이야기는
미리 대처하지 않아서, 위험신호가 있었는데 불구하고
이렇게 커지지 않았을 문제였는데 등이다.
즉, 큰 사고로 터지기 전에 분면 작은 신호들이 있었고
미리 대처했더라면 큰 사고로 터지지 않았을 것이라는 말이다.
이런 사고가 많으니 당연히 관련 이론은 전에도 많이 있었다.
깨진 유리창의 법칙, 하인리히의 법칙이 대표적이다.

처음에는 깨진유리창의 법칙, 하인리히의 법칙을 담은 책과 비슷하겠거니 했지만
회색 코뿔소가 온다는 깊이가 다른 듯 했다.
옛 신화에서부터 최신 경영지식에 이르기 까지 여러 지식을 동원하여 
예시를 들어 설명을 한다.
사건의 예시로도 우리나라의 세월호나 삼풍백화점과 같은 뻔한 예시겠지 했지만
물부족, 빈곤층, 주택부족, 재정난, 멸종 위기의 동물 보호 문제 등
넓은 범위를 다루고 있어 한 이론에 대해 다양한 생각을 할 수 있게 한다.

무엇보다 회색코뿔소가 우리에게 다가오고 돌진하는 과정을 그리고
책을 풀어나가는 것이 인상적이다.
어떻게 보면 조금은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경제, 재난 이슈들이지만
위험한 수준을 체감할 수 있도록 회색코뿔소가 적절한 비유가 된다.
사실 깊이가 있다고는 하지만 처음에는 낯선 사례들이 많아
조금 어렵게 느껴졌지만 회색코뿔소의 위협을 느끼는 순간
관심을 갖고 두번 세번 읽어보면서 이해하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

책을 읽으면서 다시한번 우리의 현재 안전하지 않은 상황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심각성을 느낄 수 있었다.
대충은 알고 있었지만 다시한번 심각성을 느낄 수 있었던 것은
새로 접하는 여러 사례를 통해서이다. 
그리고 왜 우리가 알고 있으면서도 대처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도 
여러 이론을 통해 설명하기에 더 설득력이 있으면서도 
쉽게 바뀌지 않을 나와 사람들에 대해 다시한번 심각성이 느껴졌다.

이런 설득력있는 책이 사람들에게 많이 읽혀지며
행동을 바꾸도록 해야하지 않을까 싶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2-07-18 03: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