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테두리 없는 거울
츠지무라 미즈키 지음, 박현미 옮김 / arte(아르테)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츠지무라 미즈키’의 <테두리 없는 거울> 읽고 난 뒤 전체적으로 만족스러웠습니다.
첫 번째 이야기. 「하나코의 저주」
일드 기묘한 이야기에서 본 것과 소설의 이미지는 달랐습니다.
아마도 영상보다 글이 전해주는 상상의 무한대의 공포와 소름이 좋았습니다.
마지막 ‘하나코’가 나타난 이유가 별거 아니지만 정말이지 소름끼치는 이유였습니다.
두 번째 이야기. 「그네를 타는 다리」
그 나이때 소녀들의 호기심이 불러들인 망상이 만들어 낸 작은 오해와 비극
이번 이야기 역시 단순하면서도 그 시절의 감성을 잘 대변해준 이야기라 봅니다.
‘관심’이 만들어낸 이야기 그리고 그 속에 존재하는 ‘망상’..... 다른 이견의 모습들....
세 번째 이야기. 「아빠, 시체가 있어요」
계속 늘어나는 시체를 처리하는 가족들 그리고 그 속에 알 수 없는 ‘틈’이 현실인지 여부에 의구심을 주네요.
이야기 전체 흐름이나 분위기는 매우 좋았습니다. 역시나 결말이 궁금할 찰나에 결말은 도대체 이해가 안되네요.... 모르겠습니다....
네 번째 이야기. 「테두리 없는 거울」
예상 가능한 결말 이였지만 전개의 흐름이 잘 이어져 어려움 없이 술 술 읽혀가는 것이 더운 여름 한 밤에 읽기 좋은 이야기 거리였습니다.
피아노 치는 한 소년을 향한 마음이 어떤 망상을 품게 된 건지에 대한 이야기로
마지막 ‘이름’을 부를 때의 그 반전이 좋았네요.
다섯 번째 이야기. 「8월의 천재지변」
어린시절의 감성을 가장 잘 표현해준 희망찬 이야기였습니다.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 그러기에 거기에 덧붙여진 사연이 참 아련하네요.
가장 좋았습니다.
작가는 다섯가지의 이야기에서 어린시절의 누구나 겪어본 경험과 상상을 공감대라 할 수 있는 표현을 잘 이끌어 우리들의 아련한 추억과 합치되어 재미와 감동, 그리고 공포를 적절히 잘 전달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인상깊은 단편으로 「8월의 천재지변」과 「하나코의 저주」가 가장 좋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