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관, 호러작가가 사는 집 ㅣ 미쓰다 신조 작가 시리즈 1
미쓰다 신조 지음, 김은모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먼저 읽어 본 <작자미상>
그 전 에 나온 미쓰다 신조의 작가 시리즈 중 하나인 <기관>을 읽었습니다.
어떤 책을 평가할 때 딱히 기준을 세워 놓고 기록을 하지 않는 이상 내용이나 결말 같은 것은 금방 잊혀 지기 마련이지요. 그래도 당시 내가 읽었을 때의 기억 속 탄성이 나온 작품은 몸이 본능적으로 기억하듯 머릿속에서도 본능적으로 그 작품을 기억하는 것 같습니다.
그것이 미쓰다 신조의 <작자미상>이며 그 外 <어나더>, <퇴마록>, <항설백물어>, <64> 등 이 지금 이 순간 딱! 하고 문득 기억이 떠오르네요.
<기관>의 시작은 미쓰다 신조만의 느낌 그대로의 시작입니다.
글재주가 없는 저로서는 미쓰다 신조가 만들어 낸 세계관을 요약해서 줄거리를 나열하자니 어렵기만 하네요.
‘~없는 것처럼‘시리즈 역시 요약이 안되는 .... 그래서 포기.
이 작품 속 주인공 ‘미쓰다 신조’는 언덕에 가려진 서양식 저택을 발견합니다.
이렇게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주인공은 지역 부동산을 통한 수소문 끝에 그 집이 영국에서 이축되어온 ‘인형장’이라는 것을 알아내며 열쇠까지 얻게 됩니다.
작가시리즈의 특징답게 이야기 속 이야기가 동시에 진행이 됩니다.
주인공 ‘인형장’에서 겪는 이야기와 주인공이 쓰고 있는 ‘모두가 꺼리는 집’에서 ‘섬뜩’함과 더불어 알 수 없는 작은 문을 발견하면서 이야기는 기괴함을 가득 담아 진행되어가네요.
작가가 겪고 있는 현실에서의 ‘쓰구치 이자히토’라는 인물은 미쓰다 신조의 이름을 빌려 일본 호러 대상에 응모한 자이며 미쓰다 신조의 생활에 관련된 많은 부분을 알고 있는게 확실합니다. 이러한 의문에 작가는 자신이 연재하는 <모두가 꺼리는 집>에 어린 주인공 ‘코토히토’의 집에 접근한 그것이 우연인지, 의도적인지는모르겠지만 설정의 인물로 ‘쓰구치 이자히토’를 넣어 이 집에 관련된 기괴한 이야기를 펼쳐나갑니다.
도대체 ‘쓰구치 이자히토’는 누구인가?
사람은 늘 호기심 앞에 약해질 수밖에 없는지도 모릅니다.
그러한 호기심이 낳은 결말에 경악은 이루 말 할 수 없지요.
이번 작품 속 하이라이트는 주인공의 겪는 「현실」과 「소설」을 이중교차하는 장면으로 볼 수 있네요. 그러한 기법이 <작자미상>에서도 이어 진 걸로 어렴풋이 기억나기에 읽으면서도 낯설지 않게 다가왔습니다.
이중교차 속에서 어느새 현실인지 아니면 꿈인지 알 수 없게 만들면서 조각 퍼즐을 맞추어 갔을 때 전해주는 결말의 경악은 특히나 ‘미쓰다 신조’가 「소리」로 전해주는 공포와 함께 적어도 저는 경악했습니다. 이 작가의 의미심장한 결말들은 다양한 해설을 낳을 수 있는데 이것 역시 ‘미쓰다’만의 주특기라 봅니다. 그리고 현존 ‘소리공포’의 최고 작가로 봅니다. 달리 국어적문체 표현은 못하겠네요.
<기관>을 읽으면서 느끼는 거지만 ‘미쓰다 신조’는 한시도 쉬지 않고 계속 이야기를 전해주는 긴 호흡을 가진 이야기꾼인거 같습니다. 쉴 틈이 전혀 없을 정도라 보며 어느 타임에서 끊어야할지 모르겠으니까요. 아마도 다른 책은 집어 들지 말고 이것만 정주행하게끔 하는 작가만의 능력인 것 같습니다.
뒤가 궁금해서 책을 내려 놓을 수 없었어요.
마지막으로 표지가 전해주는 강렬한 이미지도 더운 여름 가장 필요로 하는 표지였어요.
특히나 다락방 창문의 색과 거기에 비치는 어느 존재까지도.....
표지가 전해주는 ‘모두가 꺼리는 집‘이였어요.
‘저 역시 이 집에는 가고 싶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