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일 밤의 우주 - 잠들기 전 짤막하게 읽어보는 천문우주 이야기 Collect 22
김명진 외 지음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 끝에 떠나는 밤하늘 우주여행

🌞천문학자들이 들려주는 천문우주 이야기

⭐90일 동안 읽는 짤막한 우주 이야기

유니버스 : 낭만과 신비로 가득한 우주

스페이스 :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우주산업

코스모스 : 우주 그 이상의 우주

🌌지은이 (한국천문연구원)🌌

김명진 우주위험감시센터 선임연구원

김상혁 고천문연구센터 책임연구원

노경민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

신지혜 은하진화연구그룹 선임연구원

이우경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

정태현 전파천문본부 책임연구원

정해임 홍보팀장

홍성욱 이론천문센터 선임연구원

🌒🌓🌔🌕🌖🌗🌘

✨우주를 좋아하시는 분, 우주에 호기심이 있지만 어려워서 망설이셨던 분들께 추천합니다. ✨쉽고 친절한 설명이 있습니다. 짤막한 이야기가 모여있어 잘 읽혔습니다. 알기 쉬운 설명과 선명한 사진들이 이해하기 좋게 합니다. 초보자도 천문 관측을 할 수 있는 방법, ✨다양한 동영상과 자료를 큐알코드와 사이트로 연결해서 볼 수 있게 해줍니다.

✨쉬운 설명뿐만 아니라 1206년 알 자자리의 물시계와 코끼리 시계, 우리나라의 첨성대, 천상열차분야지도, 앙부일구, 보루각루, 흠경각루, 일성정시의 등의 사진 자료도 볼 수 있어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지구 자전축, 태양풍, 궤도, 중력, GPS, 우주의 길, 외계 행성을 찾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중력파와 블랙홀, 암흑 물질과 우주 기술 발전 등 ✨'우주에 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적극 추천합니다!

🌒🌓🌔🌕🌖🌗🌘

🌌책 속 문장🌌

🚀인류는 이제 중력의 변화가 시공간을 전파해가며 만들어내는 '중력파'를 검출하고 있습니다. 최첨단의 대형 망원경으로도 보지 못했던, 시공간의 일렁임을 이제 막 보기 시작한 것이지요. p.25

🚀우주에 대한 탐구는 곧 우리의 존재가 어디에서 왔으며, 무엇이며, 어디고 가는지에 대한 위대한 질문에 대답하기 위함입니다. p.33

🚀인체를 구성하는 모든 원자는 우주 대폭발, 별의 중심, 혹은 초신성 폭발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주 먼지로 떠돌단 다양한 원자들이 태양계가 형성될 당시 지구에 뭉쳐져 지금의 우리 몸속까지 들어오게 된 것이죠. p.358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를 '별'이라 부르며, 별들 사이를 가로질러 움직이는 행성들과는 달리 변하지 않고 언제나 그 자리에 있다는 의미로 항성(恒星) 이라고도 부릅니다. p.41

🚀운석에는 '태양계 화석'이라고 불리는 초기 태양계 물질 콘드룰Chondrule도 담겨 있습니다. 이는 지구에는 없는 물질로 과학자들은 이를 분석해 태양계가 처음 만들어졌을 당시의 환경과 조건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p.75

🚀만약 생일이 6월 중순이라면 쌍둥이 별자리예요. 그런데 생일별은 생일날 볼 수 없다는걸 아시나요? 태양이 그 별자리에 머물기 때문에 생일별을 볼 수가 없어요. 태양이 황도를 따라 180도(6개월) 이동하는 12월이 되어야 쌍둥이 별자리를 잘 볼 수 있답니다. p.145

🚀다행히 지구 자전축의 흔들림은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미미합니다. 지구가 자전축의 기울기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유는 지구를 맴돌고 있는 달이 중력으로 자전축을 꽉 붙잡아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안정된 기후 환경 속에서 살아갈 수 있게 된 것도 모두 달 덕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113

🚀달 표면에는 핵융합 및 핵분열의 연료와 첨단 산업에 꼭 필요한 희토류 등 채산성 있는 자원이 상당량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235

🚀달은 더 먼 우주 탐사를 위한 첫 관문이자 전초기지, 연료 충전소가 되는 것이지요. p.236

🚀지상에서 태양광으로 얻는 전력은 생각보다 크지 않습니다. (중략) '그렇다면 대기를 통과하기 전 우주에서 태양 에너지를 모아 지상으로 보내면 어떨까?' 이것이 바로 '우주 태양광 발전'이라 불리는 기술입니다. p.319

🚀다중 우주가 정말 있을까요? 우리는 이것을 확인할 방법이 없습니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저런 다중 우주의 존재를 실험으로 밝히는 일이 이론상 불가능하기 때문이지요. p.447

#도서제공 #동양북스

인스타그램 @mhreading

네이버블로그 mhreadin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