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원치료의 발전과 기법 - 상처 입은 개인, 관계, 세대 간 사랑과 신뢰의 복원
테리 하그레이브.니콜 자소브스키.미영 해머 지음, 명화숙 옮김 / 하나의학사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제공 #하나의학사

상처 입은 개인, 관계, 세대 간 사랑과 신뢰의 복원

단순하지만, 깊이 있는 치료 모델

복원치료(RT, Restoration Therapy)

하나의 독특한 역설을 지닌 치료 모델이다. 사랑과 신뢰의 의미에 착안한 이 모델은 결혼 및 가족치료 작업에서 비교적 새로운 접근법 중 하나로 개인과 관계에 가능한 한 많은 사랑과 신뢰를 회복하는 데 주력한다. (중략) 애착이론, 감정 조절의 효과와 이점, 뇌의 연구, 마음챙김의 실행 등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것을 최선으로 독특하게 조합한 것이다. 이는 내담자를 변화의 지점으로 이끌기 위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새로운 접근법을 활용한 것이다. p.17

인상 깊은 문장

복원치료에서 우리는 "그것에 대해 어떻게 느끼십니까?"라고 묻는 대신 정체감과 안전감에 관한 질문을 훨씬 더 구체화한다. 예를 들어, 치료사는 "그것이 당신 자신에 대해 어떻게 느끼게 하나요?", "그 행동이 당신에 대해 뭐라 말하고 있나요?", "그것이 그 관계에 대해 어떻게 느끼게 하나요?"라고 묻는다. p.73

우리는 모두 내담자들이 그들의 성격, 복잡한 관계, 또는 문제에 갇혀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때로는 내담자가 자신이 느끼는 감정을 효과적으로 말로 표현할 수 없거나 자신의 상황과 행동을 스스로 이해할 수 없을 때도 있는데, 이때 내담자는 자신에게 답답함과 좌절감을 느낀다. p.123

내담자가 인간인 것처럼 치료사인 우리도 인간이다. 내담자의 인간성과 접촉하기 위해서는 우리 자신의 인간성과 필수적으로 접촉해야 한다. 우리의 감정을 관리하고, 행동의 건설적인 변화를 만들고, 자신에 대해 최고라고 믿는 것이 실제로 얼마나 어려운지에 대한 인식은 내담자에게서 이와 같은 문제의 전제조건이다. 우리 자신의 인간성과 접촉할 때, 우리는 인내하고, 이해하고, 공감하고, 내담자의 인간성과 연결하는 것이 훨씬 더 쉬워진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p.124

소속감을 활용하면 우리는 인생의 고통과 트라우마를 혼자 마주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보장한다. 마지막으로, 인격과 선의 강력한 속성이 고통과 트라우마에서 올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면, 안전하지 않은 세계와 신뢰할 수 없는 것을 활용하여 의미를 구축하고 건전한 관계를 덕목의 가장 필수적인 요소로 확장하는 여정을 시작하게 된다. p.264

덕목은 감정 조절 곤란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감정적으로 조절된 진실과 평온에서 비롯된다. p.315

사람이 느끼는 고통은

사랑과 신뢰의 위반에서 온다고 합니다.

여러분은 혹시 가지고 계신 고통이 있으신가요?^^

삶에서 항상 좋은 일만 있을 수는 없기에

심리학에 관심이 많이 가는 것 같습니다.

복원치료는 방송에서 접해 들어서 알고 있었는데,

트라우마와 상처를 어떻게 극복하게 할 수 있는지

신기하기도 하고 궁금해서 읽어봤습니다.

실제 사례가 있어 더 이해하기 좋습니다.

복원치료사는 내담자가 느끼고 있는

고통의 원인이 무엇인지 깨닫게 하고

삶을 바꿀 수 있도록 유도해 주며,

절망감, 무력감 등 부정적 감정들을 좋은 생각들로 바꿔

굴레에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선순환 시켜주는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돕기 위해서 같은 인간으로 깊이 있게 공감하고

섬세하게 관찰하는 꽤 복잡하고 어려운 직업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복원치료는 심리학에서 어려운 치료는 아니라고 합니다.

전공자가 아님에도 생각보다 내용이 쉬웠고, 잘 읽혔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