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된 표현형 - 출간 40주년 기념 리커버판
리처드 도킨스 지음, 홍영남.장대익.권오현 옮김 / 을유문화사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기적 유전자, 그다음 이야기
확장된 표현형 40주년 리커버판

✨@eulyoo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확장된 표현형은 리처드 도킨스가 가장 애착을 보인 저서다. 저자는 이기적 유전자의 유전자의 긴 팔이란 장에서 실은 지금 당장 이 책을 접고 확장된 표현형을 읽으라고 권하고 싶다. 라고 말했을 정도로 학문적 자부심을 드러낸 바 있다.

🧬도킨스는 본 저서에서 자신의 사상이 유전적 결정론이라 오해받는 것에 대해 풍부한 사례와 논리적 근거를 들어 명쾌하게 반박하며 흥미로운 사고실험들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독자는 지금껏 익숙했던 세계의 모습이 뒤집혀 보이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유전적 관점에서 보는 또 다른 해석이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자연 선택이라는 진화의 과정을 일목요연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최적은 최선을 의미하며 개량은 더 나음을 의미한다. (중략) 자연 선택은 현재 이용할 수 있는 대안 중에서 가장 나은 것을 선호한다는 사실과 관련 있다. 자연에는 잠깐 불리하더라도 궁극적으로 계통을 전체적 우수성으로 인도하는 일련의 돌연변이를 준비하는 선견지명이 없다. 자연은 나중에 등장하는 더 이로운 우수한 돌연변이를 이용하려고 지금 당장 쓸 수 있는 약간 이로운 돌연변이를 외면하지 못한다. 강처럼 자연 선택은 바로 흐를 수 있는 가장 저항이 적은 계통으로 내려가는 길을 맹목적으로 개량한다. 그 결과 탄생하는 동물은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완벽한 설계물도, 근근이 살아가기에 충분한 설계물도 아니다. 그 동물은 역사적 변화가 연속된 산물이며 그들 각각은 기껏해야 그때 어쩌다 생긴 대안 중 더 나은 것을 나타낼 뿐이다. p.91

🧬유전자가 표현형을 일으키지 않고, 단지 유전적 차이가 표현형 차이를 일으킨다는 주장은 유전적 결정이라는 개념을 시시하게 하는 듯 보인다. 그러나 전혀 그렇지 않다. 적어도 우리가 관심을 두는 주제가 자연 선택이라면 말이다. 자연 선택 또한 차이와 관련 있기 때문이다. 자연 선택은 어떤 대립 유전자가 그 대안보다 더 많이 퍼지는 과정이며 이를 달성하는 도구가 표현형 효과다. 여기서 표현형 효과는 언제나 대안적 표현형 효과와 상대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사실이 따라온다. p.332

❤️동물이 하는 행동은 그 행동을 '위한'유전자가 행동을 수행하는 특정 동물 몸에 있든 없든, 해당 유전자가 달성하는 생존을 최대화하는 경향이 있다. p.388

🧬비버는 둥지 근처에 댐을 건설하지만 댐이 발하는 효과는 면적이 수천 제곱미터에 이르는 일대에 물을 가득 채울 수 있다. 비버 관점에서 이런 못이 주는 이점은 땅보다 더 안전하게 이동하고 나뭇가지를 운송하기도 쉬운, 수중으로 오고가는 거리를 늘린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개울가에 사는 비버는 개울가 주변 적당한 거리에 늘어선 먹이 공급원인 나무를 금방 소진하고 만다. 이때 비버는 개울을 가로지르는 댐을 건설해 긴 물가를 만들어 멀고 지난하게 육지를 넘나들지 않고도 쉽고 안전하게 먹이를 채집할 수 있다. 이런 해석이 옳다면, 비버가 만든 못은 거미줄과 어느 정도 유사한 방식으로 채집 영역을 확장하는, 거대한 확장된 표현형이라고 볼 수 있다. p.338

🧬❤️🧬❤️🧬❤️🧬

리처드 도킨스가 앞서 발간한
'이기적 유전자'에서 언급했듯이
유전자의 긴팔이 무엇인지
알아볼 수 있습니다.

확장된 표현형은
생물의 외적 유전자 외에
'환경에 반응하는 행동'과,
'행동의 결과물'까지 포함하는
개념 입니다.

생명체가 유전자 기계로써
생존에 필요한 것은
유전자 뿐만이 아니라
행동과 행동의 결과물도 있습니다.

행동의 결과물은
물질적인 것도 있지만
밈 같은 문화적, 정신적인 것도
존재합니다.

주로 동물을 예시로 설명합니다.
하지만 사람 사회에서 일어나는 이해하기
어려운 일들을 보는 것 같기도 해서 나름대로
철학적인 생각들을 해볼 수 있었고,
흥미로운 책이었습니다.😊👏

인스타그램 @mhreadin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