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객모독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06
페터 한트케 지음, 윤용호 옮김 / 민음사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저, 연극 <관객모독>이 6월 1일까지 대학로에서 공연된다는 것을 알립니다. : )

공연 예매를 하고 나서 얼마나 모욕적일지 궁금해하며 읽은 작품입니다.

내용은 없기 때문에 이야기 할 수가 없네요.

 

과거의 사실이나 상상하는 내용을 극으로 만든 것이 아니라 철저히 지금 일어나고 있는 시간에서 언어, 그러니까 단어와 문장들로만 이루어진 대본입니다.

지시문도 없고요. 뭐 이런 게 다 있나 싶었지요. 제일 앞에 등장인물에는 달랑 "배우 네명"이라고 써 있고요, 그 뒤에 "배우를 위한 규칙들"이 있는데 그 중에는 따라해보고 싶은 것이 많습니다. 연극이 어떻게 만들어질지는 모르지만, 이 "배우를 위한 규칙들"은 책을 통해서만 볼 수 있을 것 같네요.

예컨대, 이런 것들, "안장이 땅을 향해 거꾸로 세워진 자전거에서 돌아가는 바퀴살이 조용해질 때까지 그 소리를 귀 기울여 듣고, 멈추어 설 때까지 바퀴살을 자세히 관찰할 것." 혹은 "동물원에서 인간을 흉내 내는 원숭이들과 침을 흘리는 라마들을 자세히 관찰할 것" 이런 건 정말 해보고 싶어집니다.

 

 본격적으로 연극이 시작되면, 온통 말 뿐입니다. 했던 말들을 조금씩 단어를 바꾸어서 하기도 하고요, 나중에는 "너희들"이라고 하면서 욕까지 합니다. 그렇게 계속 욕을 들어먹다 보면 어떤 생각에 이르게 되는데요. 그 생각은 사실 지금까지 내가 본 연극이 더 모욕적이었단 생각입니다. 

 

왜 그런 생각이 들었는지는 피터 한트케가 이 작품의 서술 방법에 대해 언급한 부분에서 알 수 있을 것 같아요. 

 "연극이 구체적인 상(想)을 그리지도 않고, 현실을 그대로 묘사하거나 현실이 아닌 것을 현실로 착각하게끔 하지도 않으며, 오직 현실에서 쓰이는 단어와 문장으로만 구성된다는 점, 그것이 이 작법의 핵심이었다. 지금까지의 모든 방법들에 대한 거부가 내 첫 희곡의 작법이었다."

 

좋은 작품들은 대게 모욕적입니다. 그건 이전 작품들을 능멸하고 모독하면서 제자리를 찾는다는 점에서 그렇죠. 그런 의미에서 이 작품은 아주 모욕적이고 제대로된 모욕입니다. 가끔 우리는 제대로된 모욕을 당하고 나면 그 이전의 시간들이 훨씬 모욕적이었단 걸 깨닫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사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모욕이라는 생각도 해보았습니다.

 분량이 많지 않고, 지루하지 않기 때문에 모욕당하길 원하시는 분들께, 그러니까 모욕이 절실하신 분들께 권해드립니다. 이후의 시간들과 이전의 시간들에 대해 조금 다른 생각을 할 수 있을 거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