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욘드 타로 텔링 - 당신이 타로 마스터가 될 수 있는 그 너머의 메시지
윤성진 지음 / 프로방스 / 2020년 3월
평점 :
‘진짜’ 타로를
만나면,
‘진짜’ 세상이
보인다.
당신은 ‘환상’의 민낯을 확인할
준비가 되었는가?
이 문구는 《비욘드 타로 텔링》의 앞표지 카피이다. 책의 마지막 장까지 읽고 난 후 다시 책을 바라보니 더욱 눈에 띈다. 그
만큼 이 책을 한 마디로 표현한 문구 같아서 고개가 끄덕끄덕.
나는 태어나서 지금껏 사주, 타로, 별자리점 같은 것을 본 횟수가 손에 꼽는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타로는 다른 종류보다 접한 횟수가 많다. 뭔가
재미, 호기심 그리고 가볍고 캐쥬얼한 이미지를 풍기기에 거리낌 없이 볼 수 있었던 것 같다. 요즈음 취미로 타로를 공부하는 사람도 주변에 꽤 많다. 나도 고만고만한
호기심만 갖고 있던 중에, 재미난 책을 만났다.
《비욘드 타로 텔링》이라! 저자는 심리상담카페를 운영함과 동시에 타로에 대한 강의를 오랫동안 하고 있다.
타로에 대한 책이나 강의 등을 전혀 접하지 않았던 나 임에도 불구하고 책을 참 편하고 즐겁게 술술 읽었다. 책의 전체적인 구성이 초보자를 대상으로 의식의 흐름에 따라 강의를 하듯 한 단계 한 단계 이어나간다.
타로의 유래, 역사, 카드 구성으로 이야기가 시작한다. 타로를 읽는 법, 카드마다의 기본 심볼 등을 설명하지는 않는다. 이유는? 저자는 말한다. 타로에 대한 기법서, 읽는 법 등에 대한 책은 이미 무수하다고. 그런 기본적인 사항은
타로 리더에게 있어 운전면허를 따기 위한 첫 관문인 필기 시험과 같다고 한다. 기본적으로 익혀야 할
사항이지만 그 이상의 역할은 아니라는 것.
“타로는 영물이 아니다. 단지 도구일 뿐이다”
타로는 타로 리더에게 ‘도구’ 이상도 이하의 의미도 아니라고 반복적으로 이야기한다. 포춘텔링이나
종교적 믿음이 전혀 없는 나이지만, 그래도 영 퍼센트의 기운을 기대한 것은 아니었는데…뭔가 거친 손작업을 하기 전에 목장갑을 끼면 더 자신감이 생기는 것처럼 ‘도구’의 역할을 한다고 설명한다. 책을 읽다 보면 ‘타로를 읽는다는 것’, 조금은 추상적일 수 있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함에도 불구하고 저자는 찰떡 같은 예를 들어 이해하기가 참 수월하였다.
그렇다면 상담자 혹은 내담자에게 무엇으로 리딩을 하는
것일까? 그 정답은 ‘직관’에 있다고 이야기한다. 간단하게 말하면 직관은 ‘감’ 같은 것인데. 오랫동안
타로 리딩을 하면서, 내담자가 방문하는 순간, 타로 리더와
대면하는 순간부터의 모든 상황 그리고 대화 하나하나로 캐치하는 ‘직감’.
이처럼 저자는 타로리딩에 있어 조금의 신비감도 없이 이야기한다. 하지만 ‘직감’에 대한
이야기를 계속 이어나간다. 책의 마지막 챕터에서는 실제 타로텔링을 하는 상황을 (스프레딩한 카드를 보여주면서) 대화문으로 보여주면서 더욱 더 실전의
이해를 돕는다.
이 책의 마지막 장을 덮었을 때, ‘직감’의 중요성에 대해서 새삼 다시 느끼게 된다. 어쩌면, 일반적인 심리상담의 기능과도 연결되어 있는 느낌. 그리고 어떤 일이든 우연인 듯 하지만 각 개인의 과거모습이 반영된 현재 그리고 거기에서 볼 수 있는 미래…라는 생각이 머릿속에 흐른다.
나의 첫 타로에 대한 책이었는데, 참 좋은 책을
만난 것 같아서 뿌듯하다. 타로에 대한 ‘환상’의 ‘민낯’을 보여준 책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타로의 신비한 무언가의 느낌은 여전히 지울 수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