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온통 화학이야 - 유튜브 스타 과학자의 하루 세상은 온통 시리즈
마이 티 응우옌 킴 지음, 배명자 옮김, 김민경 감수 / 한국경제신문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등학교 때 이후로 화확이라는 단어는 머릿속에서 꺼내본 적이 없었다. 다양한 책을 읽는 것이 좋다는 이야기에 과학 분야의 책을 읽어보고 싶다는 마음만 컸고 책을 집어들 용기를 못 내었는데. 《세상은 온통 화학이야》는 화학 이야기를 전문인들, 과학자들간에서가 아닌 일반인들에게 편안하게 소개한다는 느낌을 받고 용기를 내어 이 책을 펼치게 되었다. 더군다나 이 책의 작가는 재미있는 화학 이야기로 인기 유튜버 활동을 하고 있는 화학자였다.


화학은 나와는 아주 먼 분야라고 생각했었는데, 이 책을 펼쳐 마지막 장까지 읽다보니 어느새 저자가 아침에 깬 상황부터 밤에 이르기까지 함께 일상을 보내며 자연스럽게 화학이 내 머릿속에 살포시 자리한 느낌이다. 이 책은 절대 딱딱하지 않다. 작가가 대중들 앞에서 말도 많이 하는 유튜버이시기도 해서인지, 책의 전체적인 문체도 수다를 떠는 기분이었다. 책 속에 등장하는 저자, 저자의 남편 그리고 친구이자 화학자기도 한 크리스티아네, 그녀의 남자친구 이야기, 또 다른 동료 화학 실습생 등 저자 주변의 사람들 이야기까지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많이 등장한다.


천연, 자연 이라는 단어에는 긍정을, 화학이라는 단어에는 보통 부정정 인식을 많이 하는 것에 대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매스컴에 대해 부정적 시선을 주는 모습에서 나도 많이 배운 것 같다. 화학이라는 것 자체가 부정적 요소는 아닌데 말이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마시는 커피 속 카페인 분자가 뇌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자가 따뜻함에서 차가움으로 이동하는 현상 등을 일상 속에서 설명해 주어서 생생하게 머릿속에 들어왔다. 저자의 설명을 듣고 보니 나도 앞으로는 찬기운이 들어오니 창문을 닫는다 가 아니라 따듯한 기온이 빠져나가니 창문을 닫는다 라고 말을 해야겠다.


너무 우리 일상속에 항상 있는 것이다 보니 전혀 화학과 연관을 짓지 않았던 물에 대한 이야기가 가장 인상깊었다. 물은 특이하게 얼면 밀도가 낮아지고 얼음이 어는 원리, 그와 더불어 아이스 스케이팅 등의 원리 등이 참 재미있었다. 그리고 주변에 과학자, 연구하는 사람들이 없어서 알지 못했던 그런 연구분야에 있는 사람들의 일상, 고충에 대한 이야기들도 자연스럽게 접하면서 무척 흥미로웠다. 꼭 상업적으로 이윤이 나지 않는 실험들과 연구들이 많은데 '왜 이것을 하는가'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을 한다는.. 저자는 독일에서 태어난 배트남 인이라고 책의 말미에서 본 듯 하다. 번역서임에도 불구하고 저자의 위트, 유머가 넘치는 대목들이 책 중간 중간에 많아서 편하고 즐겁게 읽었다. 저자의 유튜브를 가 볼 생각을 못 했지만(아마도 독일어일 것 같아서) 책을 보면, 분명 입담도 엄청 좋으신 분이셔서 인기 유튜버를 하시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화학지식 잘알못 내가 재미있게 읽었다면, 다른 왠만한 사람들도 다 소화하기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책의 마지막에 한국인 감수자인 화학분야 교수님도 읽으면서 참 많이 웃었다고 하는 이 책, 화학을 싫어하는 사람들이 화학을 좀 더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브릿지 역할을 해 줄 수 있는 좋은 교양서적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