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파민형 인간 - 천재인가 미치광이인가
대니얼 Z. 리버먼.마이클 E. 롱 지음, 최가영 옮김 / 쌤앤파커스 / 2019년 10월
평점 :
잘 중독되는 사람, 도파민형 인간이라. 나는 주변 사람들보다 무언가에 항상 더 잘 빠져든다고 생각해서 혹시 나와 좀 관련이 있을까 하면서 <도파민형 인간>을 읽게 되었다.
다행이라고 해야할까. 이 책에서 말하는 도파민형 인간은 정말 더한 사람들을 표현한 것이었다. 역사적으로 유명했던 예술가, 과학자, 수학자들이 도파민형 인간으로 분류되어 있었다.
무언가에 더 잘 중독되고, 성취욕이 강하고, 성공을 이루면 또 다른 성공을 바라는 것..이런 성향은 그냥 일반적 사람의 성향 중 하나라고만 단순히 생각했었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이 책은 뇌의 성분 중 하나인 도파민이 유독 많이 나오는 사람들의 특징에 대해서 분석한다. 실제 사람들의 예만 든 것이 아니라 아주 많은 동물 실험, 사람들의 행동 실험 등의 실험 사례들을 제시한다.
도파민형 인간과 반대되는 유형은 현재지향형의 인간들이다. 일반적으로 무엇에 광적이고 유혹을 잘 받는 사람이라고 하면 예술을 하는 사람들을 잘 떠올리지만 과학, 수학 등의 연구가와도 사실은 상통한다는 사실은 무척 흥미로웠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실제로, 실용과학의 발전에 예술가들의 덕도 상당히 받았다는 것.
도파민이 강한 인간과 반대 성향의 인간을 정치적인 부분으로 분석한 점도 무척 인상깊었다.그 두 성향을 크게 정치의 진보파와 보수파로 나누어 설명을 하였다.
특히 도파민형 인간의 특징이 특출나서 역사적으로 과학의 발전, 예술의 발전에 공헌한 위인들이 많았지만 그들은 보통 개인적 인간관계나 윤리적 면에서 그렇게 잘 해내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그 예들은 대부분 도파민이 특히 많은 사람들이었다. 도파민형 인간이 천재인지 미치광이인지 책의 커버에서 묻는 말이 있었지만 책의 말미에 가면 결국 보통의 인간들은 적당한 도파민과 그것을 조정해 주는 인자가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어 제어를 한다고 한다. 도파민이 너무 강하면 사회성과 공감력은 부족해진다고 한다.
이 책에서 든 여러가지 사례들은 항상 단정을 하지는 않았다. 도파민이 아닌 다른 이유가 있을 수도 있다고 그런 여지를 두었다. 나도 읽으면서 여러가지 요소가 사람의 성격 등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특히 도파민의 성격과 역할에 대해서 많이 알게 된 것 같아서 인상 깊은 책이었다. 한 분야에 몰두한 전문인들을 보면 다른 일반적인 것에 부족하거나 사회성이 없는 등 평범한 것에는 무언가 부족하다는 인상을 곧잘 받곤 했는데, 이 책에서 이야기 한 것들로 잘 설명이 되는 것 같다.
책의 결말은 적절한 도파민, 적절한 현실주의가 발전하는 사회로 만들 것이라고 하는데, 흥미로운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