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무능한 남자들이 리더가 되는 걸까? - 회사가 리더를 뽑을 때 쉽게 빠지는 함정
토마스 차모로-프레무지크 지음, 이현주 옮김 / 파우제 / 2019년 7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국적은 모르겠지만 어릴 때 아르헨티니아에서 자란 외국인 작가님이 쓰신 책이다. 책 제목 《왜 무능한 남자들이 리더가 되는 걸까?》만 읽어도 사회생활을 많이 해 본 사람이라면 떠오르는 사람들이 많을 것 같다. 그리고 주변의 지인들만 봐도 리더쉽 없는 xxx 상사 때문에 힘들다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참 많았고 실제 한국에서도 이직하고 싶은 이유가 크게는 1위가 인간관계인데 그 인간관계 속 디테일을 살펴보면 능력없는/리더쉽 없는 상사 때문인 경우가 무척 많았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도 같은 이야기를 언급하기도 한다.


리더라면 당연히 리더쉽이 뛰어난 능력자가 해야 하는 것이 많은데 실제 우리 세계에 무능력한 사람들이 참 많다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연구를 하여 이 책을 펴 냈다. 주제가 무척이나 흥미로웠다. 그리고 책 소개에서 대표적인 예로 정말 유명한 스티븐 잡스를 '나쁜 리더'의 한 예로 들었던 것도 무척이나 충격적이어서 이 책에 더 호감이 갔다.


이 책은 초반에는, 표면적으로 보기에는 리더십 있는 능력자 리더들의 특징에서 우리가 잘못 보는, 오해하는 입장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자신감'이다. 자신감이 넘치는 사람이 '능력 있는' 사람이라고 '잘못' 생각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자신감'이 넘치기 때문에 '유능'하다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고 이 책에서 이야기한다. 또 많이 거론되는 리더쉽 있는 것으로 오해되는 특징이 자기애가 넘치는 '나나르시스'이다. 이 두 가지가 뛰어난 사람은 리더쉽이 뛰어난 사람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리더쉽이 정말 필요한 위기의 순간 등에서는 무척 부정적 영향이 크다는 것이다.


가짜 리더쉽이라고 느껴지는 성향에 대해서 이야기 한 후, 진짜 리더쉽 있는 사람이 가지는 자질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요즘처럼 인공지능이 발달하는 시대에는 조금 중요성이 덜해질 수 있지만 지적 자본, EQ 등이 중요한 요소로서 강조한다.


이미 리더의 위치에 있는 사람들 변화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도 이야기 하는데, '사람의 본성'은 바꾸기 힘들기에 바꿀 수도 있지만, 바꿀 수 없는 부분도 이야기 하는 것 등이 참으로 인상 깊었다. 세계의 유명한 리더, 정치인들에 대해서 잘 몰라서 예를 들 수많은 유명인사들의 예 중 이해를 못한 부분이 상당히 있었지만, '좋은 리더'의 예를 든 부분에서는 보고 그 사람들에 대해 특화된 도서나 자료를 찾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회사, 정치인그룹 뿐만 아니라 작은 클럽이나 모임이라 할 지라도 리더의 역할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좋은 리더의 자질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그리고 그룹의 성격 혹은 나라, 문화에 따라 그 나라가 얼마나 지배적인 나라인지, 자율적인지의 특징이 있기 때문에 '좋은 리더의 조건'은 문화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는 점도 인상적이었다. 좋은 리더의 조건은 일률적인 것이 아니라 그 위치에 따라서 필요한 조건이 다를 수도 있다는 점은 어떤 자리에서는 내가 좋은 리더의 조건이 아니지만 저 자리에서는 내가 좋은 리더일 수 있다는 것!


책 제목이 무척 강하여 호기심이 갔던 책, 독특한 주제로 연구한 이 책이 무척 흥미로웠다. 한 그룹의 리더 역할을 하고자 하는 사람, 혹은 리더를 배치하고자 하는 사람 등 이 부분에 특히 진중하게 생각하고 싶은 사람들은 꼭 읽어보라고 추천 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