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허에 바라다 - 제142회 나오키상 수상작
사사키 조 지음, 이기웅 옮김 / 북홀릭(bookholic)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처음에는 142회 나오키상 수상작... 이 말에 너무나 끌렸습니다. 개인적으로 나오키 수상작들을 좋아하기 때문이죠. 어찌보면 노벨문학상보다도 더 신뢰하는 편이기도 합니다. 그 이유는 노벨문학상은 작가에게 수여하는 성향이 강하고, 나오키상은 작품에 수여하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이죠. 히가시노 게이고의 <용의자 X의 헌신>, 미야베 미유키의 <이유>, 오쿠다 히데오의 <공중그네>, 텐도 아라타의 <애도하는 사람> 등등.. 나오키수상작을 읽고서는 단 한번도 실망한 적이 없기에 이번에도 기대를 하고 읽게 되었습니다.
 

먼저, 이 소설은 6개의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오지가 좋아하는 마을」, 「폐허에 바라다」, 「오빠 마음」, 「사라진 딸」, 「바쿠로자와의 살인」, 「복귀하는 아침」, 이렇게 6편 입니다. 그 중에서 가장 인상에 남았던 몇 작품을 이야기 하면, 우선 「폐허에 바라다」라는 작품은 경찰로써의 '나'와 인간으로써의 '나' 사이의 갈등이 인상 깊었습니다. 또한, 사람의 온기를 갈망하고, 사람에게 실망하는 피의자의 쓸쓸함과 안타까움이 기억에 남습니다. 추리소설이라기 보다는 어떤 사람의 내면을 표현하고 그리는 소설에 가깝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두 번째로 「사라진 딸」이라는 작품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어찌보면 이 이야기는 너무 뻔해보일 수도, 가장 흔해보일 수도 있는 이야기 입니다. 실종된 딸을 찾는 아버지의 부탁과... 그 과정.. 그런데도 저에게는 이 이야기가 가장 기억에 남고, 가장 슬프고 안타까웠습니다. 이 이야기가 제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어떤 소설과 닮았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추리소설이라는 것이 특별한 사건과 특별한 범행동기 및 방법 등을 다루면 굉장히 흥미진진할 수도, 굉장히 신선할 수도 있다고는 생각합니다. 하지만, 가장 추리소설 다운 것은 가장 평범해 보이는 사건을 특별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건과 인물들의 감정을 통해서 공감대를 형성하고, 현실과 비교하게 되면서 독자에게 큰 감흥을 느끼게 해주는 소설....  이 소설은 그런 소설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세번째로 「복귀하는 아침」은 가장 추리소설 다운 이야기였습니다. 특별함이 숨어있고, 반전이 있는... 게다가 6개의 단편 전반에 걸쳐 등장하는 센도 다카시의 과거 사건도 함께 등장합니다. 하나의 사건에 과거의 또 다른 사건이 등장하면서 엄청나고 끔직한 충격을 안겨 주었습니다. 사실, 과거의 사건이 더욱 기억에 남기도 합니다. 이것때문에 「복귀하는 아침」이 더욱 살아났다고 할 수도 있겠네요. 구체적인 이야기나 눈치챌 염려가 있는 이야기는 하지 않겠습니다만, 확실한 것은 가장 추리소설 다운 이야기는 분명 「복귀하는 아침」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흥미진진하고 인상깊은 이야기였습니다.
 

이외에도 「오빠 마음」이나 「바쿠로자와의 살인」 등 각각의 소설이 전혀 다른 재미를 주기에 단편임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재미를 주는 소설입니다. 개인적으로 추리소설은 단편보다는 장편을 선호함에도 『폐허에 바라다』는 6가지의 단편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어서 즐겁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특히 소설 전반에 걸친 쓸쓸함과 여운은... 꽤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다만, 짧은 페이지 내에서 사건을 파악하고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장편 추리소설에서 느낄 수 있는 긴장감은 조금은 부족한 편입니다. 그럼에도 이야기의 특별함이 아닌 감정의 특별함을 느끼고 싶은 독자라면 읽어보시고 만족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저의 아~~~주 개인적인 서평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