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장남자 시코쿠 문학과지성 시인선 R 3
황병승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황병승의 여장남자 시코쿠는 서사의 형태를 띠는 시가 많이 수록되어 시의 등장인물이나 설정이 분명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시 간의 관계성을 찾거나 공통점을 발견하며 읽는 것이 이 시집을 감상하는데 적절한 접근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렇게 읽다보면 이 시집에서 여러 가지 이야깃거리를 찾을 수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되다 만 것에 관한 이야기가 가장 두드러져 보인다.

되다 만 것’, 어딘가 불완전하고 엉성하게 유지되는 상태가 이 시에서는 그 내용과 형태로 표현되고 있다. 우선 시의 내용 측면에서 시의 등장인물들과 그들의 주변 상황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시집에 등장하는 인물은 통념상 일반적이라고 보기 어려운 특성을 지니고 있다. ‘여장남자트랜스젠더라는 정체성을 보여주거나(여장남자 시코쿠, 대야미의 소녀-황야의 트랜스젠더), 이상한 모습을 보여주고(그 여자의 장례식, 리타의 습관), 과도하게 자기중심적인 인물(Cheshire Cat’s Psycho Boots_8th sauce-앨리스 부인의 증세,) 등 어딘가 과장되거나 결여된 인물들이 많다. 특히 제목에서도 사용된 여장남자트랜스젠더라고 지칭되는 인물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는데 이들의 노력이 과연 그러한 정체성 형성으로 이어졌는지는 속단할 수 없다. 그 노력의 예로 쓰기를 꼽을 수 있다. ‘쓰기는 시집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는 행위지만 시의 등장인물은 쓰기에 성공하지 못한다. 찢고 다시 쓸 정도로 쓰기에 대한 의지는 강하지만 모종의 이유로 쓰기의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공책에 쓰고 엽서에 쓰지만 그 글은 어딘가로 전해지거나 다른 이에 의해 읽히는 모습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쓰기의 실패는 원 볼 나싱3한 소년이 철로 변에 누워 기역 자로 죽어간다에서 암시되고 있다. 원고지를 연상시키는 철로 변에서 소년은 기역 자, 즉 문자를 의미하는 상태로 죽음을 맞이하고 있다. 정체성을 향한 노력으로서의 쓰기가 좌절됨이 나타나고 있고, 결국 등장인물들은 원하는 상태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되다 만 것은 또한 시의 형태면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행이나 연 구분에 관계없이 의미가 형성되기도 하고 의미가 끊어지기도 한다. 의미 단위라고 예상한 것이 독립적인 의미를 지니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구절은 의미 파악이 어렵다. 심지어는 해당 서술이 무엇 혹은 누구를 향한 것인지 알 수 없을 때도 있다. 하지만 각각의 구절이 아니라 이웃 구절, 이웃 시와 함께 읽을 때는 의미를 알 것 같기도 하다. 온전한 의미를 지니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구절과의 관계나 다른 시와의 관계 속에 그 의미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101쪽에 있는 메리제인 요코하마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 시는 한 행으로 이루어진 연을 앞뒤의 연과 연결지어 해석할 때 그 의미가 분명해진다. , ‘메리제인, 너는 걸었지메리제인, 말했지와 같은 하나의 행을 전후에 위치한 연의 서술어구로 보았을 때 각 연의 의미를 이해할 여지가 생겨난다. 행과 연이 의미구분에 의해 나눠져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불완전한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주변 구절에게 서로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각 시의 내용뿐만 아니라 시의 구조에 이르는 영역에서 작가는 되다 만 것’, 불완전함을 표현하는 방식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불완전함이 결국 다른 시구와 혹은 다른 시와 얽혀 읽어질 때 하나의 주제로 나타난다는 점은 불완전함의 수용(극복이 아닌)은 관계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