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데르센, 잔혹동화 속 문장의 기억 Andersen, Memory of sentences (양장) - 선과 악, 현실과 동화를 넘나드는 인간 본성
박예진 엮음,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원작 / 센텐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이라 불리던 시절은 누구나 예외 없이 동화와 함께 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물론 그 시절 나의 추억 속에도 마찬가지로 동화가 깃들어있었는데 그 가운데 상당 부분을 차지한 동화는 바로 인어공주와 성냥팔이 소녀 등으로 익히 알려진 안데르센의 작품이었다.

그리고 이번 이야기는 바로 그 안데르센과 그의 작품에 주목한 이야기였다.

사실 어린 시절 동화를 읽던 시기 초미의 관심은 오롯이 주인공들에 쏠려있었기에 작품 속 배경이나 상황에는 집중을 하지 않았으며 당연히 저자의 성장 배경이나 시대상은 파악할 일이 만무했었다.

하여 이번 독서를 통해 언제나 익숙하고 대중적이었던 동화의 아름답지만 단순한 결말 ‘착한 주인공은 왕자님을 만나 행복하게 살았답니다’와는 사뭇 달랐던 안데르센의 동화는 파헤칠수록 드러나는 저자의 생경한 낯섦에 더욱 기묘한 매력을 느끼게 되었다.

그의 작품은 다른 동화에서 전혀 다루지 않았던 사회적 배경과 인간의 명암을 가감 없이 드러내는가 하면 사회적 현실 반영하여 모순을 드러내기도 하고, 틀에 박힌 구성이 아니라는 사실에 신선함이 배가되며 외려 성인이 되어 만나니 좀 더 다각도로 바라보고 더 다양한 상상으로 교훈을 주는 방법으로 읽게 되어 다양한 해석을 통한 감상이 가능한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었다.

학창 시절 독서했던 어린 왕자나 데미안을 성인이 되어 읽었을 때의 느낌이 사뭇 다른 것과 같이 동화 또한 어린이를 위한 작품이라는 편견을 버리고 낯선 시각으로 만나니 더욱 경이로운 교훈으로 깨달음이 배가되는 경험이었다.

때론 인간의 탐욕에 깊은 탐구를 녹여낸 작품으로 심오한 주제를 다루기도 하지만 그가 한 소년만을 위한 작품을 만들기도 했다는 예상을 깨는 반전과 가볍고 유쾌하게 풀어 풍자하는 이야기, 권선징악이라는 틀에서 벗어나 교훈을 주는 작품, 미운 오리 새끼와 같은 작품을 통해서는 본인 투영 스스로도 성장하는 등 다양한 동화로 그는 다채로운 매력을 표출했다.

또한 아름다운 작품의 배경과 달리 결말이 향하는 잔혹함과 어둠이 포함된 다수의 작품이 그의 성장 배경으로 인한 결과라는 작가에 대한 정보 또한 얻을 수 있는 설명으로 안데르센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었고, 자전적 요소가 짙게 녹아든 작품에서 그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비록 현대적 해석으로는 그의 작품이 외모지상주의라는 평가도 있지만 외려 나에게는 그의 작품이 그의 여리고 순수한 성정이 빚어낸 아름다운 이야기로 다가왔기에 안데르센의 작품이 왜 아직까지도 단지 어린이들만을 위한 작품으로 남지 않고 남녀노소에게 지금까지도 사랑받는 이야기로 남아 있는지 비로소 알 수 있는 기회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