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 - 잃어버린 나를 찾기 위한 뇌과학자의 자기감 수업
김학진 지음 / 갈매나무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때 가스라이팅이라는 심리학 이슈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던 시기가 있었다.

이는 심리학 용어로 타인의 낮아진 자존감을 이용해 판단이 어렵게 만든 뒤 이를 악용하는 행위인데, 이런 가스라이팅과 같이 생소한 개념의 심리적 현상과 다양한 독특한 심리학 이야기들을 톺아보면 자존감이 생각보다 우리 삶에 있어 크나큰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깨닫게 해준다.

이러한 자존감은 뇌과학과도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하는데, 우리에게 익숙하면서도 설명하기에는 낯선 개념인 자존감.

이 자존감을 김학진 교수의 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에서는 자존감뿐만 아니라 자기감이라는 개념과 더불어 ‘자기‘로부터 시작하여 의미를 공고히 하며 나아가 자존감 불균형을 해소하고 건강한 자기감 유지를 위한 방법까지 제시하였다.

본문은 우리 뇌의 알로스테시스라는 신체 불균형을 예측, 예방하는 이야기로 포문을 연다.

이 알로스테시스 기능의 과부하에 걸릴 경우 겪게 되는 심리적 장애를 심도있게 다루며 전개되는 이야기는 사고 후 본인의 가족조차 분간하지 못하거나, 뇌 손상으로 인해 기억력이 더 우수해진다는 신기한 사례들, 기억을 하는 과정이 오히려 기억을 왜곡하기 쉽다는 신기한 뇌과학의 이야기로 뻗어나간다.

다소 어렵고 복잡하기만 할 것 같은 뇌과학이라는 영역에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친근감 있게 다가오는 이야기는 지극히도 타인을 의식하는 뇌가 신체의 요구에 역행하기도 한다는 사실마저 다루어 흥미뿐만 아니라 놀라움까지 느끼며 뇌과학에 집중하게 만든다.

영리한 뇌의 이런 다채로운 이야기들과 더불어 부분별 기능까지 상세히 분류해 뇌과학을 다양한 예시를 통해 설명하는데, 낯선 개념은 한 번 더 삽화로 이해하기 쉽게 제시했다.

나아가 나와 비슷한 사람과 유사하지 않은 사람을 구분하기에 차별과 혐오마저 사회적 자기와 원초적 자기의 괴리가 뇌가 만들어낸 산물이라는 사실도 알게 되니 흥미롭지만 두렵기도 한 뇌과학의 사실들을 만날 수 있었다.

또한 흔히 알던 의료용 대마초의 사례에서 나아가 단어만으로도 두려운 LSD까지도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사례와 앞으로 펼쳐질 무궁무진한 뇌과학의 영역의 발전해나갈 미래까지.

다채로운 뇌과학의 매력에 흠뻑 빠짐과 더불어 개인적으로는 좌절과 불안, 상처받는 나로부터 벗어나 독립적 존재로 받아들이기를 실행하며, 나의 감정을 인식하고 불균형을 통해 타인의 감정 또한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거라는 사실에 성장할 수 있는 나와 앞으로 발전해 나갈 미래의 뇌과학이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