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 인간
알도 팔라체스키 지음, 박상진 옮김 / 문예출판사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이하고 영적이며 신묘한 존재에 대한 놀라움과 그것으로 기인하여 이어지는 갈망은 백 년 전이나 지금이나 여전히 인간의 호기심을 유발하는듯하다.

무려 1911년 작품인 알도 팔라체스키의 작품인 연기 인간의 주인공 페렐라 역시 비현실적인 인물이라는 설정으로 연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연기로 이루어져 오롯이 그가 신고 있는 장화만이 그의 존재를 알아챌 수 있는 페렐라는 33년간 굴뚝에서 머물며 페나, 레테, 라마라는 세 명의 유모에 의해 존재를 자각하게 된 기이한 출생의 인물로 등장한다.

이 작품은 독특하게도 알도 팔라체스키의 작품 가운데에서도 꾸준한 퇴고를 거쳐 저자가 개정판을 무려 5회나 출간한 작품이라고 한다.

허나 백 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음에도 저자의 애착이 짙어 지속적으로 개정된 작품이라는 이유에서인지 오늘날의 현대인 독자들이 작품을 만나더라도 어색하거나 의미가 퇴색된 부분 없이 기묘한 배경과 현실을 비판하는 날카로운 시각, 언어유희라는 다양한 요소의 독특한 매력까지 한데 엮여 지금까지 독자들이 만날 수 있게 되었다.

100년이 지난 작품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의 현대적 시각으로 구시대적 모순에 가득 찬 시대상을 탈피해 페미니즘적 요소까지 갖추며 다양한 비판을 선보이는 연기 인간은 무지몽매한 인간이 분에 넘치도록 갈망하는 탐욕과 허풍과 허울로 과대포장이 되어야만 관심을 갖게 되는 사람들의 행태, 한순간에 돌변하는 모습들을 비판해 마치 시쳇말로 냄비근성이라고 하는 인간의 모습을 정확히 겨냥한다.

의미 없고 그저 무의 상태인 페렐라에게 의미를 부여해 신격화한 뒤 일회성으로 그를 소비한 후 사탄의 자식 취급마저 해버리는 인간들에 의해 마녀사냥을 당하는 페렐라는 인간의 이면을 더욱 강조해 적나라하게 드러냈고, 다방면에서 기독교적 요소를 드러내어 자유로이 연기로서 존재했던 페렐라를 예수와 같은 순교자의 모습으로도 비춰지도록 그렸다.

연기 인간이라는 외형을 갖추어 몽환적이며 신비로움 그 자체인 캐릭터의 이미지를 공고히 한 그는 대화와 발언에 녹아든 해탈한듯한 자세로 신성한 느낌을 굳건히 해 기이한 매력을 배가시켜 우둔하기는 매한가지인 존재이면서도 군계일학이라 자부하는 이들 사이에서 외려 군계일학의 면모를 보인다.

고통의 페나, 그물의 레테, 창을 뜻하는 라마와 같은 언어적 요소를 차용하는가 하면 작중인물들의 다양한 사랑의 형태를 그리는 등 연기 인간은 알도 팔라체스키가 50년간 작품에 쏟은 애정이 짙게 투영되어 느껴지는 작품이었다.

또한 페렐라의 말로에 집중하다 보면 마치 황금알을 낳는 거위의 배를 갈라버린 주인과 같이 눈앞의 이상만을 좇는 인간이 느껴지기도 하고, 시야를 넓혀 바라만 보아도 아름다운 자연을 훼손하는 오늘날의 인간으로 보이기도 한다.

이리도 다양한 매력으로 오늘날의 현대인에게까지 영향력을 미치는 고전 작품.

이것이 바로 시대를 뛰어넘어 백 년 전의 작품으로도 작금의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매력이기에 우리가 고전을 읽어야만 하는 이유인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