얀 마텔 101통의 문학 편지
얀 마텔 지음, 강주헌 옮김 / 작가정신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 애호가라면 너무나 익숙한 소설가 얀마텔의 작품인 이번 도서는 제목만으로 쉬이 본문의 내용을 추측키 어려운 의문을 가지게 하는 책이었다.

그러나 이 작품은 소설이 아닌 진정 101통의 편지를 모은 작품이었다.

서문에서 다루듯 저자는 “우리 지도자들이 무엇에서 마음의 양식을 얻고 어떤 마음을 품기를 바라는가?”라는 의문으로 캐나다의 수상 스티븐 하퍼에게 <이반 일리치의 죽음>을 시작으로 3년 10개월간 101통의 편지와 도서를 발송한다.

물론 신간 홍보를 위해 부재중인 기간에 동료 작가의 도움을 받긴 했지만 실로 대단한 기록이다.

또한 이 일련의 과정을 2인의 북클럽이라는 매력적인 명칭을 붙여 편지를 이어간다.

그의 편지는 제목, 저자, 편지를 발송한 날짜와 함께 센스 있는 인사로 시작하는데 이 인사 역시 심상치가 않다.

때론 불온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책이라고, 때론 백열등처럼 빛나는 소설이라고, 폴 매카트니의 작품에서는 헤이 주드를 보낸다는 흥미로운 소개에 영어뿐만 아닌 필요에 의해 때로는 프랑스어로 편지를 쓰기도 한다.

본문에는 작가에 대한 짤막한 소개와 함께 출판사를 포함한 도서의 정보를 제공하며 저작권이 소멸된 작가일 경우 여러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는 정보까지 실려있다.

작가의 편지이기에 편지에서조차 황홀하게도 아름다운 표현방식과 감탄을 불러일으키는 비유, 살아있는 듯한 유머들이 돋보였으며 길가메시와 같은 고전부터 아직 출간이 되지 않은 작가의 사인본까지 독서 애호가라면 스티븐 하퍼 수상이 가히 부럽지 않을 수가 없다.

또한 스티븐 하퍼 수상이 읽어야 된다고 생각되는 책이 있다면 책을 보내달라며 주소까지 기재해두고, 이후 캐나다의 수상이 되길 꿈꾸는 정치인들을 위한 독서 목록을 확보해두면 어떻겠냐는 의견까지 제시한다.

그는 중고책의 가치를 역설하며 독서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곳곳에서 느낄 수 있게 하고, 이해를 위해 소리 내어 읽기를 강조하며 독서 태도 역시 책에 좀 더 심취하고 집중하여 읽을 수 있게, 저자가 말하는 방식에 주목하며 읽기 등의 방식으로 애독자의 모습을 띈 채 독자와 수상을 좋은 독서를 위한 길로 이끈다.

무조건적으로 좋은 책에 한정하여 독서를 권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장르에 심지어 좋아하지 않는 책을 통해서도 배워야 한다고 본인이 읽은 최악의 책 중 하나인 도서도 보낸다.

이는 독자마저도 그동안 몰랐던 다양한 분야의 도서와 작가를 알게 되는 계기가 된다.

특히 비운의 사고들로 유명을 달리하게 되거나 인정을 받지 못한 안타까운 작가들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촌스러운 겉표지에 유감을 표하거나, 책의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 수상에게 책값을 청구하기도, 답장을 받지 못하는 섭섭함까지 나타내 독자로서는 특유의 유머로 하여금 타인의 편지를 읽는 재미를 더했다.

여기에 본인 스스로 작품 창작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내 집필 과정 역시 흥미롭기에 종합 선물 세트를 받는 기분이다.

오바마 대통령을 만나기 전에 길리아드를 읽어보라고 추천하거나 크리스마스 등의 시기에 맞추어 적절한 도서를 챙겨주는 세심함 캐나다의 스티븐 하퍼 수상이 어찌나 부럽던지.(수상을 챙기던 그도 오바마 대통령에게 편지를 받은 것도 흥미롭다.)

소통이 원활한 북클럽도 아니며 심지어 2년간의 침묵 이후 답장을 받았다는 사실에도 돈키호테를 연상시키는 풍차를 공격하며 에너지를 낭비한다는 웃지 못할 비유와 일방적인 짝사랑이라 표현하며 3년 10개월이라는 긴 시간 동안 마치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을 연상시킨다.

과감하고 솔직하게 예술에 대한 예산 축소와 같은 청원도 등장하고 국민을 대하는 수상의 정책에 대해 쓴소리와 일침도 서슴없이 하는 그를 통해 캐나다를 지극히 사랑하는지 그의 진심이 절절히 느껴지는 작품이었기에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지식인이 있었으면 하는 소망이 생기는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