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지식인 - 아카데미 시대의 미국 문화
러셀 저코비 지음, 유나영 옮김 / 교유서가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87년 초판 발행 이후 수많은 서평에서 신랄한 비판을 받아온 마지막 지식인.

심지어 읽힌 횟수보다 인용된 횟수가 더 많다는 독특한 이력을 가진 이번 도서는 다소 난해하고 미국의 정세나 사상가들에 대한 사전 지식을 꽤나 광범위하게 요구하는 도서였기에 수차례 복기하며 읽게 되었다.

처음 도서를 받고 마지막 지식인과 젊은 지식인의 부재라는 명제는 선뜻 다가오지 않았다.
그러나 본문을 톺아가며 읽어보니 대학교 위주의 엘리트주의, 학벌주의로 변모하는 추세와 함께 대학에서의 성과 없이는 그 무엇도 할 수 없으며 삶을 영위할 수조차 없다는 지식인으로서의 존립 위기를 강조하며 과거 지금의 욜로를 연상시키는 보헤미아의 자유분방하며 여유로운 특징과 그의 소멸로 인한 오늘날과의 대조를 보여주며 현실을 드러냈다.

그러나 현실을 제시했을 뿐인데 날이 서 심지어는 도를 넘어선 폄하들이 잇따랐던 이유는 무엇일까?

본문의 저자는 지금 지식인과 대학교수가 동의어가 되어버린 현실과 권태로워 보이는 교수들을 지적했으며 여기에 해임당하는 교수와 불투명한 대학 내 모종의 관계들을 지적하며 대학 내에서 지식인이 살아남을 수 없는 현실까지 다양한 사례를 통해 저격하며 신랄한 논조로 개탄스러워 하기도 한다.

이에 뜨거운 감자로 충분히 화두에 오를 도서라는 것이 납득되었다.

기실 미국의 민주주의라는 역사적 특성이 대한민국과 판이하게 다르며, 구조도 다르기에 미국의 지식인을 상상하며 유추하기는 어려웠다.

허나 독서하는 젊은 층의 소멸을 언급하며 체계화된 커리큘럼 안에서 양생되는 전문가들만의 밥그릇이 되어버리는 상황은 우리네 현실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었다.

본문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번 도서도 일반인이 읽기에는 전문화가 되어있는 글이었기에 범접하기가 다소 난해했고 생경한 이야기들이 다수였지만 저자가 한 세대의 부재라고까지 일컫는 젊은 지식인의 부재를 젊은 지식인은 우리이며 나 자신이 속한 세대를 논하는 것이라는 이야기에 그리고 그 가운데에서도 공공 지식인의 소멸을 나타낸 것에 대해 저자가 우려하는 바를 갈릴레오의 일화를 발판 삼아 어쩔 수 없이 희생해야만 한다면 그를 실행하여 역사와 연구들이 대학의 그늘을 피해, 범위를 넓혀 가며 지속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