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없었는가? - 50주년 기념 에디션
린다 노클린 지음, 이주은 옮김 / 아트북스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드리고 가르시아 감독의 2011년 작 영화 앨버트 놉스의 주인공 앨버트 놉스(글렌 클로즈 분)는 모리슨 호텔의 웨이터로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년 남성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그의 비밀은 그가 그가 아닌 그녀라는 것.

그녀가 생계를 유지하며 살아가기에 여성이라는 성별은 앞길을 저해하는 요소에 불과했기에 그녀는 여성이라는 성별을 포기하고 살게 된다.

과거 이처럼 여성이라는 성별은 생계유지나 직업을 갖기에 부적절한 성별이었으며 직업을 갖는다 해도 한정적인 직업만이 존재하는 한계에 부딪히기 마련이었다.

이와 같은 부조리에서 출발한 린다 노클린의 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없었는가?는 사실 제목에 대한 질문의 답은 서문을 조금만 읽어도 즉각 파악이 가능한 명제였다.

여성 미술가의 부재는 재능이나 천성이 아닌 단지 제도화된 교육으로 만들어진 개념들에 여성들이, 그리고 여성 미술가들이 능력을 폄하당하며 직업적인 교육조차 받지 못해 진출하지 못했다는 것.

그런데 왜 이 당연하고 부당한 처우들이 출판된 지 50년이 지난 이 글로 하여금 수많은 작가나 예술가들의 입방아에 오르내리던 글임에도 남아있는 것일까.

교육이나 제도적 차별이 사라져가는 오늘날까지도 우리 사회에 은연중 깃들어 있는 남성 중심의 세계관은 소멸되지 않았으며 아직까지도 개선되지 않은 다양한 이슈들은 홍수처럼 밀려온다.

현재도 차별과 부당함을 인식하지 못하고 이를 자연스레 여기게 되는 이데올로기적 견해들이 잠식하고 있는 우리의 사고방식에는 나조차도 미술 애호가라 자부하면서도 턱없이 부족한 여성 미술가의 부재와 끊임없이 이어지던 남성 미술가의 릴레이와 같은 전시에도 아이러니함과 의문점을 갖지 않았다는 과거의 기억들마저 포함되어 있다.

또한 과거 충분히 독단적으로도 명성을 떨칠 수 있었을 여성 미술가들이 사회가 요구하고 기대하는 여성의 자세로 인하여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버린 것에 통탄스럽고 통감스러운 마음마저 느껴졌다.

2017년 디올 패션쇼에서 티셔츠에 새겨질 정도로 화제가 되었던 그녀의 글이 여성의 날을 포함한 앞으로도 다시금 지속적으로 주목받아, 우리가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던 사상에서 탈피해 젠더 문제만이 아닌 다각도에서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길 바란다.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이기에 과거에 비한다면 멀고 먼 길을 걸어온 오늘날이지만 아직도 정의와 현실의 괴리로 인하여 진흙 속에 숨어있는 진주를 위하여 부단한 노력으로 사회적 인식과 통념들이 개선되고 변화하여 내가 아끼고 사랑해 마지않는 다양하고 위대한 여성 미술가들을 만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