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수의 일 (양장)
이현 지음 / 창비 / 2022년 1월
평점 :
아직 미성숙함에, 경험해 보지 못한 일이었기에 그들은 얼어붙은 호수가 따스한 봄날에 시나브로 녹은 줄도 모르고 무지에 사로잡혀 위험한 발걸음을 내딛고 말았다.
또한 주변에서 악으로만 여겨 원색적인 비판마저 서슴지 않고 다른 시선에서 바라볼 수 없었던 이유 역시 그들 조차도 과도기였고 성장하고 있었다는 이유였으리라.
그것이 표리부동한 것임을 인지하지 못함 역시.
그들은 시쳇말로 어려서라는 흔하디흔한 말로 포장을 하고 망각하며 또다시 새로운 발걸음을 내디딜 수도 있는 시기였다.
그러나 어린 시절부터 과오를 받아들이지 못해 본인을 조금씩 갉아먹던 은기와 호정에게는 그 과오조차 용납할 수없이 너무나 큰 상처로 변모해 스스로를 무너뜨렸다.
무뎌짐을 자연스레 받아들여야 하지만 은기의 표리부동했던 진실과도 같이 호정이 겪고 표현해 내는 방식 역시 그와 같아 스스로를 좀먹고 있었다.
이는 동생인 진주, 친구인 나래, 성미 등과 극명한 대비를 이루며 무릇 해맑고, 무탈하며, 그늘 없이 다시금 밝아 올 내일을 받아들일 수조차 없게끔 길들여진 것이다.
저자는 미묘한 호정의 심경을 아주 조금씩, 그러나 유려한 문체로 자연스럽게 드러내 독자로 하여금 호기심을 자극했고 종국에는 가슴 저릿한 탄식으로 마무리하게끔 세밀하게 그려냈다.
타인과 크게 다르지 않고 모나지 않은 일상을 보내던 호정의 속내는 일상의 중압감을 겪어내고 있던 것임을, 은기에게 사소한 질문 하나하나 던지지 못하고 속앓이를 하던 이유를 아주 조금씩 은밀하게, 그러나 파괴력 있게 수면 위로 노출시킨다.
이 설득력 있고 몰입도 강한 작품은 독자로 하여금 비단 미성숙한 사춘기 아이들의 이야기만이 아닌 어른인 우리가 지켜내지 못한 과오마저 자연스레 드러내, 그들을 책임지기는커녕 상처로 잠식되어 도태시켜버린 오류 또한 자각하는 장치로 드러냈다.
섬세하고 예리함으로 손끝 감각 한 부분들 마저 자극을 느끼게 되어 진정으로 첫사랑을 마주하던 애틋한 기분을 느끼기도 했고, 일상마저 버거워져버린 고통의 이면을 마주하기도 하는 여러 감정들이 교차하며 공존하는 그야말로 과도기의 벅찬, 날것의 낯섦을 너무나 현실적으로 그려낸 작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