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란 무엇인가 - 우리가 지금 공부해야 하는 이유 아우름 51
한근태 지음 / 샘터사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까지 나의 공부 패턴은 상당히 독특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매진해야 할 시기만을 피해 열과 성을 다했기 때문이다.

딱 중학생 때까지 열심히 공부를 하다가 고등학생이 된 이후부터 대학시절까지 얻지도 못할 보상을 원하듯 미친 듯 놀았고 사회인이 되어 취직을 한 이후 다시금 호기심과 갈증으로 공부를 다시 시작을 했기 때문이다.

본문에서는 내가 이렇게 교묘히 피해 온 공부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역설했고 이를 읽는 동안 나는 나의 과거를 후회하며 앞으로의 공부 계획을 다시 정립하게 되었다.

과목별 공부를 하는 이유에서부터 언어, 역사, 대인관계에서 건강과 창의성에 이르기까지.

처음에는 십 대 학생들을 위한 도서라 생각했으나 읽을수록 오히려 현재 직업에 대하여 회의감이나 의문을 갖고 있는 성인을 위한 도서라 사료되었고 어쩌면 바로 지금의 나에게 필요한 도서라고도 생각되었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은 익숙했지만 그를 뒤집어 모르면 보이지 않는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었는데 내가 더 큰 세상으로, 더 넓은 혜안을 가지려면 아직도 턱없이 부족하다는 생각에 더욱더 겸손의 마음가짐으로 노력해야겠다 생각하며 현재에 만족하지 않고 갈증을 양분 삼아 노력해야겠다는 생각도 맴돌았다.

지속적으로 본문에서 언급하듯 지식은 내가 홀로 읽거나 본 후 나만 가지고 있는 것이 다가 아닌 끄집어 내어 넓게는 타인에게 가르치고 설명해 줄 수 있을 만큼의 것이 되어야 할 테니까.

나열된 공부의 팁 가운데 가장 유용했던 부분은 개념을 한자와 영어로 바꿔 정확한 이해를 하라는 팁이었다. 흔히 사용하고 있던 단어의 유래와 뜻을 풀어 설명해 주었는데 궁금하다는 뜻이 임금이 사는 궁에서 하는 일을 알려고 하지 말라며 금한다는 뜻이라거나 창의성의 ‘Creative’가 라틴어 ‘Crescere’여서 생각이 점차 자란다는 예시들은 흥미로우면서도 호기심을 이끌어 확실히 효과 있고 기억에 남을 방법이라 내 것으로 만들어 활용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또한 우리의 첫 기억이 4-5세인 것은 인간이 언어로 생각을 하기에 말을 하지 못해 기억을 못 하는 시기의 기억은 사라지고 언어를 인지한 이후라 소개되었는데 그에 걸맞게 언어의 중요성과 그에 이어 많은 부분을 할애해 소개한 독서의 중요성이 서술되어 있었다.
자연스러운 연결과 탄탄한 근거에도 감탄했고 이 유려한 글 솜씨도
독서와 글쓰기가 낳은 결과임을 느끼며 다시금 독서와 글쓰기의 중요성을 느꼈다.

독서는 삶의 질이 올라가게 해 쓸데없는 주장을 하거나 고집부리는 일이 줄어든다는 장점을 언급한 부분도 매우 공감되었다.
나 또한 독서를 하기 이전의 나와 지금의 내가 판이하게 달라졌기 때문이다.

자기 의견을 생산하는 최선의 방법인 글쓰기와 말을 잘한다는 건 생각이 잘 정리되어 있다는 것이라고 한다.
이를 곱씹으며 현재 내가 하고 있는 공부와 독서 후 서평을 쓰며 타인에게 이를 나누는 행위를 지속해야겠다 생각하고 적는 사람이 생존한다는 적자생존이라는 농담을 되새기며 독서를 마무리했다.

돈과 달리 세습이 불가한 지식. 나 또한 나에 대해 객관적으로 평가하며 늘 호기심을 갖고 나를 업그레이드하게끔 도전의식을 북돋워주는 감사한 도서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