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수학을 사랑한 이유 - 불가능한 꿈을 실현한 29명의 여성 수학자 이야기 내 멋대로 읽고 십대 6
전혜진 지음, 다드래기 그림, 이기정 감수 / 지상의책(갈매나무)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 도서를 접하기 이전의 나에게 수학은 실용적인 측면에서의 산수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다.

간혹 문학에서 수학을 접한 것은 밀레니엄 시리즈에서 언급된 페르마의 정리나 용의자 X의 헌신 속 4색 정리와 리만가설 등의 수학 천재들이 증명을 하며 스치듯 지나간 것이 대부분이었기에 수학이라는 과목은 나와는 접점이 없는 과목으로 치부했었다.

그러나 이 책은 낯설기만 했던 수학의 영역에 심지어 그곳에 금기시된 여성이 쌓아올린 업적을 한데 모아 그러낸 여성 수학자의 삶이었다.

하여 처음 책을 받아들 당시 제목만으로는 낯설고 범접할 수 없는 아우라가 느껴지며 내가 감당해 낼 수 있는 책일까?라는 의문이 앞섰던 도서였다.

그러나 근대에 이르러서야 여성의 접근이 허용되었다 해도 무방할 만큼 수학계에서 여성 수학자가 드물었다는 이야기들로 시작된 본문에는 수학 공부를 하기 위해 남성의 이름을 빌리고 밀항을 한다는 이야기들과 스스로 마차를 몰고 제국 여러 곳을 다니며 강의를 하다 습격을 당해 잔혹하게 살해된 히파티아나 뛰어난 여성 수학자에게 중세였다면 마녀로 몰려 화형을 당했을 재능이라는 발언마저 서슴지 않는 온상이 고스란히 드러나 여성 수학자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며 독자를 치열한 여성 수학의 세계로 이끌었다.

이름조차 전해지지 않는 영수합 서씨, 에니악 시연으로 수많은 디버깅을 해 온 여성들의 사진과 이름이 실리지 않거나 결혼 전의 이름이 소개되지 않은 부조리함에 답답함을 느끼기도 했으며 여자가 공부를 많이 하면 건강한 아이를 낳을 수 없다는 궤변마저 자연스러웠던 시대에서도 끝내 수학적인 업적을 이룬 그녀들의 고군분투를 읽다 보면 영화나 소설 속 너드미 넘치는 주인공들이 왜 그렇게나 수학의 매력에 빠져 매일 매시간을 골몰하는지 이해가 될 만큼 흥미롭고 매력적이었다.

바스키아가 교통사고로 인해 입원하자 어머니가 사주신 해부학 도서를 읽고 미술의 세계로 뛰어들거나 마티스가 수술 후 더 이상 작품 활동을 하기 어려워 누워서 가위질을 시작하며 새로운 작품의 세계를 열어가듯 프랑스혁명으로 밖에 나갈 수 없어 수학사를 읽게 된다는 마리 소피 제르맹의 일화나 벽지가 부족해 미적분 강의록을 뜯어 붙인다는 이야기들은 수학에 전념하게 된 계기는 수학 또한 미술과같이 몰입하고 몰두할 수 있는 예술적인 한 영역이라는 사고의 전환이 되었고 이에 수학에 대한 이미지도 바뀌게 해주며 기묘한 수학의 매력에 흠뻑 빠졌던 시간이었다.

미술 작품의 위작을 가리는 데에도 필요한 수학.
붓질의 주저함을 찾아내기까지 하는 이 엄청난 학문은 이번 도서로 하여금 수학이라는 학문에 다가가 흥미로움과 멋진 여성학자들의 매력에 흠뻑 빠지게 하는 시간이었다.

또한 중간중간 소개된 남성 수학자의 이야기도 흥미로웠는데 그 중 이임학의 사연은 여권을 빼앗기며 중앙정보부로 끌고 갔다는 일화마저 등장했기에 탄압을 받았던 다른 수학자의 이야기도 궁금해졌다.

읽는 동안 어쩌면 우리가 수학이라는 과목에 대하여 낯설고 어려워하는 까닭은 수학이 갖고 있는 흥미로움과 그 매력이 입시만을 위한 잘못된 교육 방식으로 인해 접근마저 두려워 그 매력을 인식조차 하지 못하게 한 것이 아닐까, 우리를 수포자로 변모시켜 멀어저버린 게 아닐까라는 안타까운 이유들이 떠오르게 만드는, 프레임을 벗겨주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