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생애 단 한 번 - 때론 아프게, 때론 불꽃같이
장영희 지음 / 샘터사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귀여운 꿀벌은 날 수 없는 선천적 구조로 인해 노력파로 한계를 뛰어넘어왔던 곤충이었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되었다.

장영희 교수는 5세까지 누워만 있었으며, 소아마비라는 장애와 암을 겪어내고도 그녀의 짧은 생애 동안 힘이 되는 글을 써 내려간 이 시대의 꿀벌과 같은 분이셨다.

못한다고, 아예 시작도 하지 않는다면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겠느냐고 시작하는 그녀의 에세이는 우리가 흔히 한탄을 할 때 사용하는 “하필이면”이라는 단어를 긍정적으로 사용하며, 사랑할 줄 아는 사람이 되어라라는 주제를 전하고 있다.

장애를 가진 딸을 위해 눈길을 치우며 두 시간마다 찾아가는 어머니의 희생에, 미안한 마음은 체면치레 없이 표현하며 딸을 위해 헌신하시던 아버지.
함께 작업하던 교과서 집필 작업을 부친 사후에도 이어가는 부분에 눈물을 멈출 수가 없었다.

이런 훌륭하신 부모님 슬하에 자란 그녀이기에 어린아이 같은 순수함 속에서도 굳건하고 강인하며, 소탈하며 좋은 것이 좋은 거다 하는 마인드로 ’교수’라는 직함에 비해 겸손하며 학생들을 생각하는 이해심이 바다와 같이 넓은 것 같았다.

그녀의 짧은 생각과 글 조각들은 독자의 가슴을 후벼파고 눈물짓게 해 가슴이 울컥하며 먹먹했고 반성하게 하여 후폭풍 또한 너무나 크게 작용했다.
한 편 한 편 곱씹어 읽으며 가슴속에 담아두느라 얼마나 한참 동안이나 읽고 또 읽었는지, 또한 읽을 때마다 눈물이 앞을 가리는지

나이가 들어감에도 방황하는 나에게 이미 가진 것의 소중함과 현재, 청춘을 감사하며 살게 하였고, 사랑할 수 있게 용기를 주는 글이었다.

삶과 죽음에 대한 이야기는 그녀가 병마와 싸우며 써 내려갔던 글이기에 더욱 자주 등장했고, 천국에 대해, 유언에 대해서도 자주 언급된다.
그녀의 생애를 찾아보고 에세이를 읽으며 느낀 생각은 역시 하늘은 좋은 사람을 먼저 데려가는구나 하는 탄식이었다.

박지리 작가의 소설을 읽을 때와 동일한 감정이 든다.
그건 더 많은 작품을 통해 작가의 삶을 더욱더 가까이에서 느껴보고 싶다는 안타까운 바로 그 감정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