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주론 (무삭제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38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김운찬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 시절 흔히 들어본 “군주론”이지만 고전이기에, 낯설기에 언젠가 한 번쯤은 읽어봐야지 하면서도 도전할 엄두도 나지 않던 이 책을 감사한 기회에 감상하게 되었다.

우려와는 달리 겁내던 것과는 사뭇 다른 짧은 내용과 읽기 쉬운 문체와 친절한 설명으로 전혀 부담 없이 읽게 되었다.

그러나 시대상이나 인물들에 대해 배경지식 없이는 읽기 다소 무리가 있어 각주와 미주가 꽤나 많이 등장한다.

그렇기에 나는 짧은 분량의 장점으로 1차로 미주, 각주 생략 후 읽은 후 2차로 모든 설명을 함께 한 번 더 읽고, 이후 관련 동영상이나 인터넷 검색 찬스도 사용하여 군주론을 섭렵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현재의 이탈리아는 500년 전 각 도시들이 모두 분열되고, 그 혼란 속 열강들까지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던 시기였다.
군주론은 마키아벨리가 관직에서 박탈을 당한 후 감옥에서 나온 후 탄생한 작품이다.

이는 로렌초 데 메디치에게 물러나있는 본인을 잘 봐주십사 하는 환심을 사기 위한 헌정의 글로 정치적 기회주의라고도 일컫는데, 세간의 말로는 로렌초 데 메디치는 군주론을 전혀 읽지 않았다는 이야기도 있다.

군주론은 수많은 인물들과 나라들의 흥망성쇠를 예시로 바람직한 군주의 이상을 그리고 있다.

선대의 단점은 조목조목 따져 되풀이되지 않게끔 주의를 주며, 본받을 내용도 언급하는데, 그가 이상적인 군주로 예시를 든 모델은 “체사레 보르자”라는 인물이었다.
사실 500년 전에 쓰인 글이라 그런지 이 인물이 이상적이라는 내용은 도통 공감이 가지 않았다.

때로는 이해할 수 없는, 지금 언급하면 큰일 날 소리들도 꽤나 등장하기에 당황스러웠지만, (살인과 약탈, 여성비하 등의 내용) 그 속에서는 현재 오늘날에도 가져와야 할 장점이 충분히 존재하며 몇 백 년이 지나도 불변의 법칙이 있음을 보여준다.

비록 필사본만 존재하며, 일부 내용이 수정되었다고는 하나, 이렇듯 지금까지 전해져 내려오는 고전인 이유는 그 속 분명히 우리가 취해야 할 핵심이 있기 때문이다.

몇 해전 개그맨 박명수의 어록이 눈길을 끈 적이 있다.
즐길 수 없으면 피하라, 가는 말이 고우면 얕본다, 참을 인이 세 번이면 호구, 티끌 모아 티끌 등이 대표적이었는데 박명수가 마키아벨리의 500년 후 순한 맛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딱 맞을듯하다고 생각했다.
500년 전 너무나 직설적으로 마키아벨리는 말한다.
멸시당하지 않으려면 약탈자가 되어야 한다, 잔인하다는 오명에 신경 쓰지 말 것, 생명을 빼앗는 것은 명백한 이유와 적절한 명분이 있으면 용인된다 등, 이 내용들은 위의 내용과 상응하지 않는가.

그렇기에 오늘날의 지도자들에게는 이 군주론에서 제시하는 지혜를 분별력 있게 선별하여 리더로서의 자질을 높여야 할 도서로, 현대인들에게는 처세술 및 인간관계를 위해 꼭 필요한 도서가 아닌가 생각하며 나는 한동안 정말 인상 깊게 읽은 이 도서를 각박하고 날이 선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