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보는 수학의 역사 - 수를 세는 동굴인에서 컴퓨터까지 빠르게 보는 역사
클라이브 기퍼드 지음, 마이클 영 그림, 장석봉 옮김 / 한솔수북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의 손가락이 10개가 아니라 8개 였다면

세상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아라비아 숫자는 언제부터 쓰기 시작했을까?

목욕을 하다가 "유레가!"를 외치며

알몸으로 집으로 달려간 수학자는 누구일까?

이 모든것이 궁금하면 책을 읽어보세요.

이 책에는 수학에 관한 이야기가 실려 있어요.

우리가 일상에서 수를 사용하는 방식은 사람들의 관점에서 만들어졌다고 해요.

예를 들어 수를 10단위로 묶어서 말하는 건 우리 손가락이 열 개이기 때문인거죠.

수학이 어떻게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것이 되었는지를 살펴보는 책이에요.

우리 일상속에 생각지도 못한 수학의 원리가 많이 담겨져 있거든요.

시장에서 물건을 구입하거나 팔 때, 건물을 지을 때, 컴퓨터를 다룰 때도 그렇죠.

개코원숭이 뼈로 이야기가 시작해요.

이것이 수를 기록하는 최초의 방식이라고 믿고 있어요.

사람들이 수를 세기 위해 막대기만 사용한건 아니에요.

돌, 조개껍데기, 나뭇잎을 이용해 수를 세기도 했어요.

그리고 손가락과 발가락을 사용해서 수를 세는 방법으로 이어졌다고 해요.


고대 이집트에서는 숫자를 그림으로 그리기 시작했고 큰 왕국을 다스리기 위해서는 수를 나누는 방법도 알아야 했어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피라미드를 만드는 데도 수학이 필요했어요.

증명을 좋아하는 그리스인을 통해 기하학이 발전할 수 있었다는 사실 아시나요.

이처럼 수학은 역사 우리의 삶의 많은 변화를 가져왔어요.

가로세로 세 칸으로 된 정사각형 안에 숫자를 채워 넣은 마방진은 인도에 영향을 미쳤고,

독일 화가 알브레히트 뒤러는 마방진이 들어간 판화를 만들기도 했어요.

우리가 알고 있는 알고리즘이라고 불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방식은 무함마드 이븐 무사 알 콸리즈미 이름에서 왔어요.

오늘날 우리가 정보를 읽어내는데도 수학이 필요한것 알고 계시나요.

바로 통계인데요. 불과 몇 백년만 해도 통계는 인구 조사 정도 혹은 작물 생산량, 건물 수 같은걸 조사했다고 해요.

학창시절 배웠던 원그래프, 막대그래프, 꺽은선그래프 등을 쓰면 한 눈에 흐름을 파악할 수 있어요.

특히 경제신문 지면에서 대표적으로 이런 그래프를 만날 수 있지요.

수학만 잘 활용하면 이렇게 세계의 경제 흐름도 알 수 있답니다.





위대한 수학적 발견의 연대기를 통해 한번 다시 정리해야 하는 것 알죠.

그리고 마지막에는 잘 읽고 기억하는지 퀴즈도 한번 풀어보시고요.

모르는 용어가 있다면 걱정 하지 마세요.

친절하게 용어에 대한 설명까지 있어요.

어렵게 알고만 있었던 수학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어요.

수학자와 용어의 어원이 어디에서 오게 되었는지

역사를 알고 나니 재밌게 다가오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