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쁜 중1을 위한 빠른 중학도형 (2024년용) - 2015 개정 교육과정 ㅣ 바빠 중학 연산/도형 (2024년)
임미연 지음 / 이지스에듀(이지스퍼블리싱) / 201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19/pimg_7571111553311736.jpg)
이번주에는 바쁜 중1을 위한 빠른 중학 도형 넷째마당 통계 단원을 공부했어요.
줄기와 잎 그림, 도수분포표를 책에 실린 개념설명을 통해 이해한 후 곧이어나오는
문제들을 풀어보며 반복 학습을 해보았어요.
주어진 자료로 직접 줄기와 잎그림을 나타내어보기도 하며 , 도수를 구하기도 했는데요.
새로운 용어들을 익히며 재미있게 풀어 볼 수 있었어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19/pimg_7571111553311737.jpg)
히스토그램과 도수분포다각형을 그리는 법도 배워보았어요.
책에 실린 설명을 하나씩 읽어나가며 히스토그램의 각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 = (계급의 크기)x (도수의 총합) 이라는 것을 자연스럽게 알게 되었네요. 우리 아이는 이번 단원을 무척 흥미로워하며 문제들을 풀었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19/pimg_7571111553311739.jpg)
상대도수는 도수의 총합에 대한 각 계급의 도수의 비율을 나타낸것으로
그 총합은 항상 1 임을 잘 알아두어야겠어요.
상대도수를 분수가 아닌 소수로 나타내는 것은 크기를 비교할 때 편리하기 때문인데요.
우리 아이가 처음에 분수로 나타내곤해서 소수로 표시하라고 다시 말해주었어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19/pimg_7571111553311740.jpg)
상대도수의 분포표에서 빈칸을 채우는 문제들은 도수와 상대도수를 이용하여 도수의 총합을
구하고 다음으로 상대도수를 구하면 쉽게 풀수 있어요.
우리 아이는 중간중간 연산실수를 빼곤 무난하게 풀었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19/pimg_7571111553311742.jpg)
이번에는 직접 그래프를 그려보았어요.
소수인 상대도수를 헷갈리지 않고 잘 구분해서 점을 찍었는데요.
일부가 보이지 않는 상대도수의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를 활용한 문제들도 어렵지않게
풀어냈어요. 바쁜 중1을 위한 빠른 중학 도형 덕분에 2학기 도형영역을 좀 더 쉽게 배울수 있었네요 ^^
이번주 학습을 마무리하며 완북을 한 아들..
6주동안 열심히 공부한 아이에게 칭찬도 많이 해 주었네요 ~